![]() |
▲미국 원유시추기(사진=로이터/연합) |
1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78% 오른 91.48달러로 장을 마감, 연중 최고치를 또 다시 갈아치웠다. 이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가격도 전 거래일 대비 0.53% 오른 배럴당 94.43달러로 마감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브렌트유는 연저점을 기록했던 지난 3월 이후 30% 넘게 뛰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감산으로 유가 강세가 지속되자 시장에서는 배럴당 100달러 돌파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유가가 언제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하는지가 시장의 새로운 관심사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업계에서도 유가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미국 석유공룡 셰브론의 마이크 워스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100달러 이상의 유가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컨설팅업체 에너지 애스팩츠의 암리타 센 리서치 총괄도 "유가가 평균 100달러 이상이 될 거라는 말은 아니지만 잠시만이라도 100달러를 웃돌 가능성은 있다"고 예측했다.
블룸버그는 특히 현물 시장에서 수요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이 전반적인 유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짚었다. 글로벌 공급부족 우려로 디젤 등의 가격이 원유보다 더 큰 폭으로 뛰다보니 정유사들은 웃돈을 주고라도 중동, 아제르바이잔, 러시아 등으로부터 원유 현물을 사들여 정제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실제 오일프라이스닷컴에 따르면 현재 아제르바이잔의 경질유 현물 가격은 배럴당 100달러를 이미 돌파한 상태다. 로이터통신 또한 나이지리아, 말레이시아산 원유 또한 100달러를 넘었다면서 "이는 공급이 빡빡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현물 가격이 100달러를 돌파함에 따라 원유 선물 가격도 조만간 이를 뒤따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를 반영하듯, 브렌트유 선물 시장에서는 지난해 11월 이후 최대 규모의 백워데이션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백워데이션은 원월물 가격이 현물이나 근월물을 하회하는 현상으로, 수요가 강한 반면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이날 브렌트유 11월물 선물 가격은 배럴당 94.43달러로 마감했는데 원월물인 12월물 선물 가격은 배럴당 93.29달러를 기록했다. 물량을 한 달이라도 더 빨리 인도받기 위해 배럴당 1달러 이상의 프리미엄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런 와중에 리비아, 나이지리아 등에선 지정학적 리스크마저 존재하고 있어 유가 약세론자들도 100달러 돌파 가능성을 인정하기 시작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원유시장에서 유명한 약세론자인 씨티그룹의 에드 모스 애널리스트는 "지정학적·기술적 요인으로 유가가 짧은 기간 동안 100달러 위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비(非) OPEC+ 산유국들로부터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면서 "90달러대의 유가는 지속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씨티그룹에 따르면 캐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노르웨이, 가이아나 등에서 하루 180만 배럴의 원유공급이 예상됐고 내년엔 100만 배럴의 추가 공급이 예정됐다. 세계 주요 산유국인 미국에서도 올해 하루 90만 배럴의 원유를 공급하고 내년엔 40만 배럴이 더 추가될 것으로 전망됐다.
일각에서는 고유가에 따른 수요 위축 가능성도 제기됐다. 유럽 투자은행 SEB의 비얀 셀드롭 수석 원자재 에널리스트는 "브렌트유가 배럴당 110~120달러까지 오르면 석유제품 수요는 더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런 가격 수준 또한 과도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인도 중앙은행은 90달러대 이상의 국제유가는 글로벌 금융 안정성에 새로운 리스크로 떠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