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6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에 방문한 손님들이 한 어패류 가게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조하니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서예온·조하니·김철훈 기자] "추석 대목을 고려해 미리 전복 10마리를 묶어 시세 대비 만원을 낮춰 팔고 있는데도 딱히 반응이 없어요. 이대로 안 나가면 어떻게 해야 되나 걱정이네요."
지난 24일 일본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된 뒤 첫 주말인 26일 낮 12시께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에서 만난 선어물가게 주인은 수산물 판매 감소의 불안감을 호소했다.
◇ 노량진수산시장 상인 ‘판매감소 걱정’…매일 방사능 검사, 기기도 늘려
이날 노량진수산시장 곳곳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소식에도 불구하고 수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더러 눈에 띄었다.
그럼에도 시장상인들은 걱정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아직 눈에 띌만한 수산물 소비 감소로 이어지지 않고 있지만,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안감과 불신감이 남아있는 만큼 앞으로 수산물 소비 흐름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장사를 낙관하지 못하는 상인도 있었다. 시장 내 갑각류를 주로 판매하는 한 상인은 "곧 꽃게 제철인데다 명절 맞아 킹크랩 수요가 늘 것 같아 ㎏당 가격도 저울에 표기된 금액보다 일부러 깎아서 판매하고 있다"면서 "킹크랩은 수입산이라 유독 안전하냐는 고객 문의도 많고, 판매도 기대이하일 정도로 저조하다"고 털어놓았다.
소비자와 상인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수협노량진수산은 방사능 검사 강화는 물론 상인 부담 완화를 위한 수산물 소비 활성화 방안도 내놓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수협노량진수산관계자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진 지난 2011년 이래 기존 주 3회 정도 실시했던 방사능 검사를 현재 매일 실시하고 있고, 방사능 기기 대수도 기존보다 2~3대 늘렸다"고 강조했다.
![]() |
▲지난 26일 서울 신도림 지역 한 대형마트의 천일염 매대에 제품이 다 팔려 텅 비어 있었고, 품절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사진=서예온 기자 |
◇대형마트는 천일염 품절 ‘사재기 현상’…수협 "문제 발생 시 조업 중단"
같은 26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반작용으로 ‘소금(천일염) 사재기’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날 신도림 지역 한 대형마트 소금 매대에는 상당수의 천일염 상품이 ‘품절’됐다는 안내문이 부착돼 있었다. 매장에서 만난 마트 직원은 "초기에는 천일염을 주지도 않았는데 지금은 그래도 많이 주는 편"이라고 전했다.
생선 매대에선 비교적 생선을 카트에 담은 소비자들이 많았다. 50대 중년 여성 김모씨는 "사실 방사능 불안감은 있다. 그래도 정부가 괜찮다고 하니 먹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해당 생선매대 위에는 마트 측이 비치한 ‘국내 수산물 안전합니다’라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안내문이 놓여있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응하는 또다른 대형마트의 풍경으로 수산물 판매 급증이 눈에 띄었다.
지난 24일 A대형마트의 전체 수산물 매출이 지난해 같은 날과 비교해 약 35%가량 늘어났다. 이는 오염수 방류 이후의 수산물 안전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이 미리 챙겨놓고 보자는 심리가 작동한 것으로 유통업계는 풀이하고 있다.
대형마트는 올해 초 일본정부의 오염수 방류 계획이 발표되자 서둘러 대응책을 마련했다. 이마트는 지난 1월부터 안전성 검사를 ‘평시- 주의-경계-심각’ 4단계 대응단계로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6월 말부터 주별 검사 건수를 기존 대비 2배 상향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방사능 안전관리 대응 단계를 상향해 주별 검사 건수를 확대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홈플러스도 국내산 수산물을 공급업체에서 자체 검사를 통해 안전이 확인된 상품만을 확보해 판매할 계획이다.
![]() |
▲서울 시내 한 이마트 매장의 수산물 매대 위에 ‘일본산 수산물 미취급’과 ‘방사능 안전검사’를 소개하는 안내판이 놓여 있다. 사진=이진우 기자 |
한편, 이같은 국민들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와 어민단체들은 후속대책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은 일본 오염수 방류 시작 이튿날인 지난 25일 정부합동 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지역 수산물 수입 금지를 계속 유지하는 동시에, 28일부터는 민간기관과 함께 전국 양식장에서의 출하 전 검사를 올해 말까지 4000건 이상 확대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생업보다 국민안전 우선’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한 노동진 수협중앙회 회장도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조성을 위해 수산물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면 조업을 전면 중단할 것"이라며 국민 불안감 달래기에 주력했다.
pr902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