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소진

sojin@ekn.kr

윤소진기자 기사모음




'네이버' 최수연 "하이퍼클로바X로 생성형AI 사각지대 없앨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24 11:49

'하이퍼클로바X' 공개…"기술력·인프라·데이터, 독보적 경쟁력"
선순환 생태계 구축 박차…"파트너 사업확장과 혁신 지원할 것"

ㅁ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단23’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아직 생성형 인공지능(AI)이라는 단어가 대두되기 전부터 네이버는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전문가들과 조직을 꾸렸고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선제적인 연구와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다가올 생성형 AI시대에도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여드릴 것입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단 23’ 컨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며 한 말이다. 그는 이날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생성형 AI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생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단23’은 창작자, 판매자, 투자자 등 팀네이버 파트너들을 초청해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한 팀네이버의 기술 방향성과 사업 전략을 공유하는 컨퍼런스다. 이날 컨퍼런스에선 네이버의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비롯해 이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와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큐(CUE):’가 소개됐다. 또 네이버의 생성형 AI 프로덕트들과 이를 적용한 검색, 커머스, 광고 등 네이버 주요 서비스들의 변화도 공개됐다.

최 대표는 생성형AI시대에서 네이버의 경쟁력으로 △검색과 기술력 △강력한 인프라 △방대한 데이터 등을 꼽았다. 네이버는 매출의 22%를 연구개발에 투자했으며, 지난 5년간 AI 투자 비용만 1조원을 넘겼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개발한 기술을 네이버 생태계에 적용, 사용성을 즉각 확인할 수 있는 것도 강점으로 꼽았다.

생성형 AI는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천문학적인 비용이 든다. 클라우드 의존도가 높고 안정성이 중요하다. 이에 네이버는 단일 기업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인 60만 유닛 이상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오는 11월 오픈한다. 향후 각 세종은 네이버의 초대규모AI의 브레인센터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최 대표는 "생성형AI와 이를 기반한 다양한 기술 프로덕트들의 중심에는 사용자, 판매자, 창작자의 경쟁력 향상에 있다" 며 "네이버의 경쟁력은 다양한 서비스와 파트너들이 서로 연결되어 성장을 이끌고, 이는 다시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위닝루프’ 구조에 있으며 ‘하이퍼클로바X’는 이러한 위닝루프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어 "지난 24년간 네이버는 많은 도전과 변화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이미 새로운 변화의 파도를 맞을 준비도 마쳤다"며 "향후 생성형 AI시대에서 네이버의 다양한 파트너들이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혁신시킬 수 있도록 강력한 기술과 서비스로 지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날 행사에서는 생성형 AI 뿐 아니라 네이버랩스에서 연구 중인 로봇을 위한 AI 파운데이션 모델, 네이버의 AI 윤리 정책, 스타트업들과의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논의를 비롯해 네이버페이, 네이버웹툰, 글로벌 C2C 비즈니스 등 팀네이버의 다양한 사업들의 현황과 방향에 대해서도 공유됐다.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