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신간도서] 부엌에서 물리찾기 1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22 08:00
2023072201001230800060551

▲[신간도서] 부엌에서 물리찾기 1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부엌 속 물리 이야기’가 책으로 나왔다.

"정말 저게 가능해?" 어쩌다 보니 온 가족이 물리학을 전공하게 됐다.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일에 심지어는 영화를 보면서까지도 ‘정말 저게 가능해?’라는 질문을 던진다. 어떤 질문에 대해 곧바로 답하기 전에 질문이 제대로 됐는지부터 따지는 것이다.

‘부엌에서 물리 찾기’는 네 식구가 따로 또는 함께 부엌일을 하다가 떠오른 생각과 나누었던 이야기를 토대로 자료를 찾아 보완하고 검증해 완성됐다.

파전을 공중으로 던져 뒤집는 순간, 팔꿈치를 중심으로 하는 프라이팬의 회전운동, 파전의 관성모멘트, 질량중심의 운동 등 여러 작용에 관한 수다가 이어진다. 이러한 이야기가 책으로 엮어 나왔다.

‘부엌에서 물리 찾기’라고 하면 언뜻 낯설게 느껴진다. 요리를 과학과 연결하라고 하면 대부분 생물학이나 화학을 먼저 머리에 떠올린다. 이는 초등학교부터 과학 수업에서 배운 포도당의 광합성이나 녹말의 소화가 주로 기억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쌀이나 감자,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만들어진 포도당이 녹말로 어떻게 저장되는지, 혀의 어느 부분에서 단맛을 느끼는지, 단맛을 내는 설탕과 포도당의 화학식과 그 구조를 배우면서 자연스레 화학을 배웠다.

그렇지만 부엌에서 일어나는 일은 생물학적, 화학적 과정보다 물리학적 과정이 많다. 물체의 운동이나 전자기장을 복잡한 수식을 이용해서 다루는 딱딱한 물리학이 맛있는 음식을 요리하는 것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현대의 부엌에서 사용하는 모든 조리 기구는 물리학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리에 가장 중요한 전기를 각 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은 패러데이의 법칙 덕분이고, 음식물을 간단히 데워주는 전자레인지는 레이더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음식이 달라붙지 않는 프라이팬은 NASA에서 우주선에 우주 먼지가 달라붙지 않게 하도록 개발한 코팅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이처럼 부엌의 조리기구와 요리 과정은 물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책은 맛있는 요리를 만드는 조리법이나 부엌에서 주의해야 할 일을 알려주지 않는다. 그 대신 칼로 썰고, 물을 부어 밀가루를 반죽하고, 불로 요리하는 과정에서 어떤 물리적인 일이 일어나는지, 그 원리를 살펴본다.

제목 : 부엌에서 물리찾기 1
저자 : 청유재 사람들 (박병윤, 권경훈, 박혜연, 박준규)
발행처 : 북스힐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