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2007년 시행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환승할인제’에 따라 고양시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에 매년 손실보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버스 관련 재정지원액은 863억원(국비 274억, 도비 147억, 시비 442억)으로 이 중 고양시 자체 부담액은 절반 이상인 442억이다.
현재 고양시 시내-마을버스는 25개 업체 131노선 인가대수 1060대다. 이 중 마을버스는 전국 최다인 21개 업체와 인가대수 427대를 보유(40.4%)하고 있다. 시내-마을버스 운수업체는 코로나19로 인한 버스이용객 감소와 국제유가 급등, 임금인상 등으로 재정 상태가 이미 바닥을 드러냈고 버스 표준운송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버스요금까지 더해 업체들은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마을버스 적자업체는 2020년 11개, 2021년 15개에서 올해는 18개로 늘어났고 재정지원금도 2008년 18억원에서 작년 93억원(적자금액 80%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로 인해 시내-마을버스 131노선 중 14%인 19개 노선(시내 12개, 마을 7개)에 대해 업체에서 노선 폐선을 주장하고 일부 업체는 폐업까지 고려해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시민 불편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더구나 1일 대곡소사선이 운행을 개시하며 버스 노선 감차, 재개편, 폐선이 예상되고(4개 노선 감차 26대, 재개편 3개 노선, 폐선 1개 노선) 내년 12월 GTX-A까지 개통하면 운수업체 적자 증가는 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내년부터 시내-마을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준공영제가 시행되면 고양시 재정분담률은 442억원에서 약 792억원으로 55%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재정분담이 늘어나면 지방재정 운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각종 사업 추진 재원 조달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운수업체의 주 수입원인 버스요금이 물가상승률에 근거해 최소 2~3년마다 검토해 조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경기도에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하고 시 재정부담 감소를 위해 경기도 재정분담비율을 현행 30%에서 50%로 상향해 달라고 제안했다.
고양시는 또한 운수업체 적자 보전을 위해 마을버스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150원이 인상되면 연간 업체 운송수입금이 50억원 늘어나고 고양시 재정지원금도 32억원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다. 마을버스는 시내버스와 지하철 이용객 환승율이 55% 이상으로 높아 요금이 인상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시민이 체감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경기도가 재정분담률을 현실적으로 늘려 지자체 재정 부담과 열악한 시내-마을버스 재정상황이 해결돼 시민에게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며 "경기도가 시내-마을버스 요금 현실화와 재정 분담비율 상향 조정을 받아들이도록 협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