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주시는 문화도시 조성사업 특정감사 후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
원주시는 5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도시 조성사업 특정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원주시 관계자는 "원주시 감사관실은 지난 5월 문화도시 조성사업 추진실태 전반에 대해 특정감사를 실시했다"며 "보조사업자에 대한 지나친 자율권 보장과 담당 부서의 사업 지원 제한으로 보조금 사업 관련 다양한 의혹으로 투명한 절차적 검증 등 감사의 필요성이 요구돼 사업 담당부서(문화예술과)에서 감사관실에 지난 4월 28일 감사를 요청했다"고 감사 배경을 밝혔다.
원주시는 △국고보조금 보조사업 관련 계약업무 부적성 △예산집행 및 계약 추진 부적성 △출장 여비 정산 부적성 △원주시 소유 물품의 전자기록 포맷 등 훼손 등에 대해 집중 감사했다.
시 관계자는 "감사 결과 2000만원을 초과하는 물품 및 용역구매 계약은 조달청장 또는 자치단체에 위탁하거나 나라장터를 이용해 계약을 체결해야 함에도 자체적으로 임의 판단 후 수의계약 등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총 34건 약 11억원의 보조사업 관련 계약업무를 부적정하게 수행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했다.
이어 "센터장 직무대행으로 할동한 A씨는 원주시문화도시추진위원회 위원 4명이 각각 대표로 있는 법인과 동 기관 총 15건의 용역 수의계약으로 2억6900야만원의 예산 을 집행했다"며 또 "한국그림책연감 2020 제작 용역 등 27건을 직접 수의계약, 2022 문화도시 원주 통합브랜드 홍보물 디자인 및 제작 등 2건에 대해 계약체결 없이 지출, 자격요건 충족 못한 개인에게 용역 등 81건에 대해 다수 계약을체결하는 등 총 115건 13억3000여만원의 보조사업 관련 계약업무를 부적정하게 수행했다"고 밝혔다.
![]() |
▲김찬 원주시 감사관은 5일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도시 조성사업 특정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원주시는 감사 결과와 관련해 위법·부당하게 처리돼 추가 사실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담당부서를 통해 관계단체에 대한 수사 의뢰 조치할 것이라 전했다.
이어 "보조금 교부·집행·정산 등 보조사업 관리가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되도록 특정감사 및 성과감사 등을 통해 문제점 파악하고 책임소재를 규명해 개선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향후 이와같이 위법·부당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감사 기능을 확대하고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직무유기 담당공무원 처분에 대한 기자의 질문은 수사의뢰 사항으로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원주시의 감사결과에 대해 센터 측은 반박에 나섰다.
센터 측은 문화체육관광부는 수의 계약은 원주시 보조금 집행 지침에 따른 내부 거래로 보기 어렵다고 했으며 컴퓨터와 노트북에 저장된 전자기록 등 사업 인계 과정에서 외장하드에 담아 시에 제출했고 남아 있는 개인정보 기록을 삭제한 것이라 반박하며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ess00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