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로이터/연합) |
블룸버그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정부는 중국에서 잃은 마이크론의 점유율을 차지하도록 한국 기업들에게 장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측을 의식한 데 다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정부는 미국을 핵심 장기 파트너로 보고 있고 이러한 관계를 훼손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론 상황을 이용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중국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41.3%, 28.2%, 25%로 집계됐다.
미국 또한 마이크론의 빈 자리를 한국 기업이 채워서는 안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미 하원의 마이크 갤러거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직접 경험한 동맹국인 한국도 (한국 기업이 마이크론의) 빈자리 채우는 것(backfilling)을 차단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아울러 중국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공장 운영은 미국 측 허가에 달려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다만 이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정부가 한국에게 제재를 가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의 반도체 제재에 맞서 싸우려면 중국 입장에선 한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최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APEC 무역장관 회의 계기에 만나 산업망과 공급망 안정 수호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왕원타오 부장은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중한 경제·무역 관계가 심화·발전했다"며 "중국의 수준 높은 대외 개방은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한국과 함께 양자 무역 및 투자 협력을 심화하는 것을 비롯해 산업망과 공급망 안정을 수호하고, 양자 및 지역에서의 협력과 다자 차원의 경제·무역 협력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를 원한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한미경제연구소의 트로이 스탠가론 이사는 "한국이 중국에서 마이크론 공백의 메우지 않을 경우, 중국은 과거 미국의 미사일방어 체계를 배치해준 것에 대한 보복과 같은 방식으로 나설 가능성이 있다"며 "마이크론 제재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한국을 최악의 처지로 몰아넣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이 미국 반도체에 대한 규제를 확대할지, 미국이 마이크론에 대한 중국의 결정에 어떻게 대응할지 아직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미국과 중국은 긴장 수위를 낮추고 상무장관 회담을 개최하는 등 고위급 대화를 복구하려고 시도했다.
다만 지난 27일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단호히 반대", "용납 불가" 등 표현을 쓰며 마이크론 제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