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서예온

pr9028@ekn.kr

서예온기자 기사모음




고물가·작년 기저효과…신세계, 1Q 영업익 1524억 6.8% ↓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10 14:14

분기 매출액 1조5634억 전년 대비 11.5% 감소
백화점 매출 성장세 지속됐으나 이익은 소폭 감소
면세점 사업 부문 매출 줄었지만 흑자전환 달성

clip20230510141309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서예온 기자] 신세계백화점이 고물가 여파와 지난해 실적 기저효과로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소폭 감소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연결기준 올 1분기 영업이익이 15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도 전년 대비 11.5% 감소한 1조 5634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실적에 대해 다만 회사 측은 "물가상승과 위축된 소비심리 속에서도 백화점의 외형 성장과 디에프 등 연결 회사들의 영업이익이 개선됐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고 평가했다.

실제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백화점 사업의 올 1분기 매출액은 6209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대비 6.1% 늘어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영업이익(광주·대구·대전신세계 별도 법인 포함, 신세계사이먼 운영 프리미엄 아울렛 제외)은 지난해 최대 성과 달성에 대한 특별격려금 지급과 물가상승으로 연동된 관리비 등의 증가로 1103억원(-9.2%)을 기록했다.

디에프와 센트럴시티 등 연결 회사도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

면세점 사업을 하고 있는 신세계디에프는 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33.8% 감소한 5112억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243억원(+264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매출액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개별여행객(FIT) 매출 상승과 22년 특허수수료 50% 감면 환입 효과로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늘었다"고 전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도 호텔 투숙율과 임대매장의 실적 상승으로 매출액 843억원(+21.2%), 영업이익 218억원(+42.5%)을 달성했다.

반면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매출액이 11.4% 감소한 3122억원, 영업이익도 68.8% 감소한 103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패션사업부의 소싱 사업 정리와 해외패션사업부 내 일부 브랜드 계약 종료 영향으로 패션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지만 코스메틱부문(16.8%)과 국내패션부문(11.2%)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에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연내 패션부문 내 4개 이상, 코스메틱부문 내 3개 이상의 신규 브랜드를 선보이며 실적 회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까사와 신세계라이브쇼핑은 부동산 시장 침체 · 리오프닝으로 인한 오프라인 쇼핑 수요 증가 등 대외 환경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줄었다.

신세계 관계자는 "고금리 · 인플레이션 등 어려운 영업 환경 속에서도 백화점의 외형성장과 디에프 등 연결회사의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며 "끊임없는 공간 혁신과 온라인 콘텐츠 강화를 통해 체질을 강화하고 성과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pr902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