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엔씨소프트의 1분기 매출이 전분기와 전년동기대비 모두 뒷걸음질 쳤다. 모바일 게임 시장에 ‘리니지라이크’류 게임이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리니지W’의 매출 감소가 저조한 실적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10일 엔씨소프트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4788억원, 영업이익 81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39% 감소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7% 줄었다.
엔씨소프트의 매출은 지난해 1분기 7903억원을 기록한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지난 2021년 11월 출시한 ‘리니지W’ 매출 하락이 꼽힌다. ‘리니지W’는 작년 1분기만 해도 3732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올 1분기에는 67.1% 감소한 1226억원을 기록했다.
엔씨 측도 이날 실적발표 이후 컨퍼런스 콜에서 리니지W가 저조한 실적의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쟁작 출시로 인한 매출 감소나 트래픽 잠식에 대해서는 관련성을 부인했다.
홍원준 엔씨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기존 레거시 모바일 게임 대비 (매출 안정화가) 한 분기 정도 일찍 발생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경쟁작 출시 이후 우리 주요 모바일 게임의 트래픽에는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쟁작 출시에 따른 회사의 매출 감소 및 트래픽 잠식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다"면서 "오히려 우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장르가 국내시장에서 여전히 절대적인 지배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엔씨는 여전한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2분기 상황도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전날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은 위메이드의 신작 ‘나이트크로우’에 구글플레이 최고 매출 순위 1위 자리를 내줬다. 리니지M과 최상위권을 다퉜던 리니지2M과 리니지W는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에서 이날 기준 각각 8위와 9위를 기록하고 있다.
엔씨는 올해 TL(쓰론 앤 리버티)을 포함해 총 5종의 모바일 타이틀을 출시하고 반등을 모색한다. TL을 제외한 4종의 게임은 비 MMORPG 장르다. 올해 3분기에는 ‘블레이드앤소울2’의 서비스 지역 확장에도 나선다.
홍 CFO는 "출시 이후 게임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컨트롤을 통한 전투 재미를 끌어올렸고 많은 유저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많이 보강했다"며 "2년 가까운 시간 동안 많은 변화를 이룬 현재의 콘텐츠를 새로운 지역에 출시해 ‘블소’라는 훌륭한 지식재산권(IP)의 가치를 정확하게 점검받고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엔씨는 오는 24일부터 30일까지 1만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PC·콘솔 신작 TL의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 테스트 참가자에게 유료 재화를 지급해 전반적인 비즈니스모델(BM)을 점검, 완성도를 끌어올릴 예정이다.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