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감독원이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들을 긴급 소집, ‘무더기 하한가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차액결제거래(CFD) 리스크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사진은 금감원. 에너지경제신문DB |
금감원은 28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함용일 자본시장·회계 부원장 주재로 ‘증권업계 시장 현안 소통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35개 국내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임원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증권업계와 최근 자본시장 현안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의견을 주고받기 위해 마련됐다. 금감원은 "신용융자, CFD 등과 관련한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는 반대매매가 발생할 경우 시장 변동성 확대 등 증권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은 CFD 관련 과도한 고객 유치 이벤트(수수료 인하, 현금 지급 등) 운영도 최대한 지양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금감원은 "해당 거래의 투자 위험을 충분하게 인지하고 감내할 수 있는 투자자가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 권유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CFD 기초자산의 위험 수준에 따라 리스크 관리를 차등화하는 등 증권사 스스로도 리스크 확산 방지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무더기 하한가 사태가 CFD로 레버리지 투자를 하다가 증거금 부족으로 반대매매가 벌어지며 발생한 현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CFD 잔고 금액은 지난 2월 말 현재 3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조2000억원(52.2%) 증가했다. 신용공여 및 공매도 대차잔고 등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다. 신용융자잔고는 지난 26일 기준 20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1.8% 증가했는데, 특히 코스닥 신용융자잔고가 10조4000억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매도 대기자금 성격으로 분류되는 대차잔고도 79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9.6% 증가했는데,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밖에 금감원은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리스크 관리 및 정상화 지원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보수적 시나리오 아래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컨틴전시 플랜(비상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나눴다.
증권업계는 부동산 리스크 관리 강화라는 기본 방향에 동의하면서도 NCR(순자본비율) 완화 등 업계 연착륙을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증권사의 랩·특정금전신탁 관련 내부통제 기준 마련과 작동 실태, 위법행위 발생 행위 여부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주요 자본시장 현안 이슈가 발생할 경우 증권업계와 수시로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대응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증권사들 사이에 신용 정보나 레버리지 총액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언급이 있었다"며 "다른 증권사의 현황을 모르기 때문에 신용 거래나 CFD를 많이 이용하는 특정 고객이 어떤 리스크를 지녔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