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금융위 부위원장 "해외 주요국 ESG 공시의무 강화...韓기업도 영향 받을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27 13:27

ESG 금융추진단 제2차 회의...기후리스크 관리 지원

김소영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ESG 금융 추진단 제2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해외 주요국의 ESG 공시규제, ESG 평가시장, 기후 리스크와 금융권의 대응, 배출권 시장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유럽연합(EU), 미국과 같은 해외 주요국은 ESG 공시 의무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2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ESG 금융 추진단 제2차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ESG 금융 추진단’은 기업·투자자, 학계·전문가, 유관기관과 함께 ESG 공시-평가-투자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 2월 구성된 회의체다. 이날 회의는 지난 2월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회의로, 해외 주요국의 ESG 공시 규제와 ESG 평가시장, 기후리스크와 금융권의 대응 등을 두고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김 부위원장은 해외 주요국의 ESG 공시의무를 강화하는 상황에 맞춰 "정부도 해외 공시기준 공시기준 번역, 중소·중견기업 경영 컨설팅, 글로벌 정합성을 갖춘 공시기준 마련 등을 통해 기업의 준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ESG 평가와 관련해 김 부위원장은 "ESG 평가제도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ESG 평가기관 규율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ESG 평가제도(ratings)는 공시된 정보를 이용해 기업의 ESG 활동 성과(performance)를 평가하고 있음에도, 그간 평가결과의 신뢰성이나 평가 프로세스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ESG 평가기관들 스스로 내부통제 기준을 마련하고, 평가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등 규율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 부위원장은 ESG 투자, 리스크 관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기후리스크란 기후 이상에 따른 직접적인 물리적 위험이나, 전환 리스크를 통해 실물 경제뿐만 아니라 금융시스템에도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리적 리스크란 이상기후로 인한 물적 피해가 보험지급금 증가로 이어지는 등의 리스크를 의미한다. 전환리스크는 저탄소경제로 이행과정에서 화석연료 산업의 급격한 가치 하락으로 인한 금융안정 리스크를 뜻한다.

김 부위원장은 "기후리스크는 금융시스템에도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융회사가 기후 변화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 지원 등을 통해 금융회사가 기후변화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 요인을 체계적으로 통제, 관리하도록 돕는다는 구상이다.

그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노력을 유도해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시장에 충분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해 가격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현재 탄소배출권 시장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기업의 탄소배출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가격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정부는 증권사 등 금융회사의 시장 참여 확대, 파생상품 도입 등을 통해 시장에 충분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김 부위원장은 "탄소배출권 시장이 ‘균형(equilibrium) 탄소가격 형성과 이를 통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유도’라는 당초 제도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그 과정에서 기업의 자발적 탄소감축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에 대해서도 귀담아 듣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 있는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