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동식 KT클라우드 대표가 1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kt cloud summit 2023’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윤동식 KT클라우드 대표가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인공지능(AI)을 내세우며 "초거대 AI 시대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위해 KT클라우드가 디지털 인프라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18일 KT클라우드는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디지털전환(DX)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공유하고 생태계 동반성장과 비전을 확인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국내·외 AI, 클라우드, IDC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DX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공유하고 생태계 동반성장과 비전을 확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달 KT클라우드 출범 1주년을 맞아 열린 행사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윤 대표는 행사 기조연설을 통해 "지금까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이 산업계의 큰 화두였다면, 다음 포인트는 단연코 AI"라며 "AI를 통한 혁신을 뒷받침할 ‘디지털 인프라’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가 왔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우리나라는 디지털화가 잘 되어있는 국가이기 때문에 ‘디지털 인프라’를 더욱 잘 관리해야한다"라며 "KT의 AI와 클라우드,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통해 우리 산업계의 다음 DT를 이루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먼저 윤 대표는 AI를 통한 신규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비용 및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는 KT를 비롯해 오픈AI,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기업들만 초거대 AI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일반 기업들이 AI를 활용하려면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춰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KT클라우드는 초거대 AI 시대에 맞춰 전력 소모량을 낮추고 연산 성능을 높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 중"이라며 "칩 제작이 완료되면 다음 달 말 쯤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객 맞춤형 클라우드에 대한 자신감도 드러냈다. 윤 대표는 "KT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올해로 12년째"라며 "고객의 피드백을 받으며 성장해온 만큼 공공, 금융을 넘어 다양한 기업들도 필요에 따라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IDC 사업자를 선택할 때 얼마나 견고한지를 확인 해야한다"며 "특정 IDC에 장애가 나더라도 바로 옆에 있는 IDC가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어서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표는 "KT클라우드는 글로벌 확장 계획도 세우고 있다"면서 "기업 고객이 글로벌에 진출할 때 언제든지 파트너로 함께갈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KT클라우드는 내년부터 이 행사의 규모를 더욱 확대해 국내 클라우드·IDC업계 굴지의 콘퍼런스가 되도록 만들겠다는 각오다.
윤 대표는 "앞으로도 디지털 비즈니스 가치 실현을 위한 지속 가능한 기술을 교류하며 파트너들과 함께 대한민국 DX 산업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