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가 5일 수출기업 57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2차 무역업계 자금조달 및 정책금융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말 실시된 ‘제1차 금융애로 실태조사’에 이어 진행됐으며, 응답기업의 대부분은 중소기업(95%)이었고, 직급별로는 CEO(25%), 실무자(75%)가 응답했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연이은 정책금융 확대 발표에 대한 체감도에 대해 응답자의 49.4%가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으며, 21.0%는 ‘전혀 체감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정책금융 신청 시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지원조건의 높은 문턱 △정보 파악의 어려움 △복잡한 신청 절차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정책금융 지원 외 필요한 제도를 묻는 질문엔 ‘금리 부담 완화(49.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외 △대출 한도 확대(34.8%) △만기상환 유예(26.9%) 등을 요청했다.
그 밖에도 정책 금융 제도와 관련해 △단기대출 상품 확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서 대출 보증 중복 신청 가능 △정책 금융 정보 제공 통합 포털 구축 △홍보 및 안내 강화 △서류 제출 절차 전산화 등을 건의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59.8%는 전반적인 자금사정이 전년 대비 ‘매우 또는 다소 악화’됐다고 답했으며, 자금 사정 악화의 원인(복수응답 기준)으로 금리 인상(55.3%), 원부자재 가격 상승(53.9%), 매출 부진(44.7%)을 지목했다.
정만기 무협 부회장은 "주요국 기준금리 인상과 은행 파산 등으로 금융 시장의 불안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난 연말 대비 올해 수출 기업들의 금융 애로가 가중됨을 확인했다"면서 "대외 금융 환경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연초부터 협회가 금융 당국에 전달한 정책 건의 사항이 반영돼 연이은 금융지원이 발표되고 있어 다행"이라면서 "다만 수출기업들이 이를 체감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관련 홍보와 정보 제공을 통해 정보 비대칭을 해소함으로써 보다 많은 업체가 수혜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