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최근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상화된 한-일 관계를 기반으로 향후 한국경제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신산업 분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양국 간 경제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신사업 분야 한일 협력 증진 방안’ 보고서를 통해 한-일 협력이 유망한 신산업 분야로 차세대 반도체, 전기차·배터리, 모빌리티 등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기술적 측면에서 물리적 한계에 도달했고, 대외적으로도 미국의 자국 주도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기업들의 입지가 좁아졌다. 이에 한국 기업이 기능과 소재 측면에서 기존 반도체보다 진화한 차세대 반도체를 경쟁국보다 먼저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본과 공고한 기술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는 △양국 간 경쟁우위를 활용한 원천기술 등 공동개발 △한국 반도체 기업의 일본 내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한국의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 일본 첨단기업 유치 등을 제시했다.
또한 보고서는 급격한 전기차로의 전환 속 핵심 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 한일 간 기술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재 부문 경쟁력을 갖춘 일본과의 협력 시너지가 기대된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자율주행, 고정밀 지도, 양자컴퓨터 기술 등이 필요한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양국의 기술 협력을 통해 다양한 기회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양 국간 협력이 원활히 진행되기 위해선 정부 간 공식 대화 채널 복원, 한일 공동연구 성과 공유 및 활용 제고, 신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공동 콘트롤타워 운영 등이 추진돼야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치적 리스크가 양국의 경제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신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19년 한일 관계가 경색되면서 상호발전 관계가 상당 부분 축소된 상태"라며 "양국이 긴밀히 협력하면 신산업 분야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sj@ekn.kr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신사업 분야 한일 협력 증진 방안’ 보고서를 통해 한-일 협력이 유망한 신산업 분야로 차세대 반도체, 전기차·배터리, 모빌리티 등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기술적 측면에서 물리적 한계에 도달했고, 대외적으로도 미국의 자국 주도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기업들의 입지가 좁아졌다. 이에 한국 기업이 기능과 소재 측면에서 기존 반도체보다 진화한 차세대 반도체를 경쟁국보다 먼저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본과 공고한 기술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는 △양국 간 경쟁우위를 활용한 원천기술 등 공동개발 △한국 반도체 기업의 일본 내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한국의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 일본 첨단기업 유치 등을 제시했다.
또한 보고서는 급격한 전기차로의 전환 속 핵심 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 한일 간 기술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재 부문 경쟁력을 갖춘 일본과의 협력 시너지가 기대된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자율주행, 고정밀 지도, 양자컴퓨터 기술 등이 필요한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양국의 기술 협력을 통해 다양한 기회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양 국간 협력이 원활히 진행되기 위해선 정부 간 공식 대화 채널 복원, 한일 공동연구 성과 공유 및 활용 제고, 신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공동 콘트롤타워 운영 등이 추진돼야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치적 리스크가 양국의 경제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신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19년 한일 관계가 경색되면서 상호발전 관계가 상당 부분 축소된 상태"라며 "양국이 긴밀히 협력하면 신산업 분야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