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 |
무정전 전원장치는 한전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사용하는 건물 또는 시설이 정전 등 이상 상황 발생 시 대신해 전기를 공급해주는 장치다. 해당 특허 기술은 이화전기공업과 함께 개발했다.
최근 일시적인 정전으로도 큰 사회경제적 피해가 예상되면서 무정전 전원장치역시 필수장비가 되고 있다. 하지만 무정전 전원장치에 저장된 전기를 모두 사용할 때까지 정전 상황이 계속되거나 비상발전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SK에코플랜트와 이화전기공업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연료전지에서 생산한 전기를 건물에 있는 기존 전기공급시스템 및 무정전 전원장치와 직접 연계하는 직류변환장치를 개발했다.
직류변환장치는 연료전지와 건물 전기공급시스템을 전력망을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보통 연료전지에서 만든 전기는 인버터를 거쳐 전력망으로 공급되지만 정전 시에는 인버터도 작동을 멈추면서 전력공급이 끊기는데 이번에 개발한 직류변환장치를 활용하면 정전 시에도 연료전지에서 생산한 전기를 필수설비에 곧장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할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등 별도로 갖춰야 했던 설비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전기실 필요 면적을 줄이는 한편기존 설비 대비 기자재 비용 절감 또한 가능하다.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까지 SK에코플랜트가 해당 솔루션을 적용한 10여개 발전 프로젝트에서 총 8억4000만원의 비용을 절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대부분 경유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 비상발전기를 연료전지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만 비상발전기 용도의 경유발전기가 약 6.4GW 보급돼 있다. 이는 원자력발전소 약 6기에 해당하는 규모로 연료전지가 대체할 경우 대기오염 개선효과도 기대된다. 서울시가 지난해 시행한 ‘연료전지 비상전원 적용방안’ 연구용역에 따르면 연료전지는 화석연료 전력망대비 질소산화물은 약 1% 수준,일산화탄소는 약 5.8% 수준만 배출한다.황산화물은 아예 배출하지 않는다.
SK에코플랜트는 특허를 비롯해 연료전지 연계형 기술 혁신 이니셔티브를 주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이번 특허는 연료전지가 분산전원으로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용도로 우리 생활에 기여할 수 있다는 방증"이라며 "SK에코플랜트는 국내 연료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정부가 추진하는 2030년 누적 연료전지 수출액 30억달러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