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덕수 국무총리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신규 건설이 이달부터 사실상 막히게 됐다.
그러나 발전 설비가 밀집한 비수도권 인근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해 현지에서 생산 전력을 흡수할 경우 전기요금 일부 면제 등 파격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역으로 송전망 부족에 따라 원자력 및 석탄 발전기를 제도로 못 돌리는 강원도, 재생에너지 공급이 넘쳐나 태양광 발전기 가동의 일시 중단이 현실화하고 있는 제주·호남 등이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결과 계통영향평가를 강화한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이달 안에 시행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 방안에서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해 5메가와트(㎿) 이상 전력의 신규 사용 신청 때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도록 계통영향평가를 강화하기로 했다. 데이터센터의 경우 대부분 5MW 이상 전력을 사용하는 만큼 이번 계통영향 평가 강화조치가 시행되면 데이터센터는 수도권에서 실질적으로 설립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됐다.
![]() |
▲자료=산업부. |
반면 정부는 비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사업자들에 대해서는 시설부담금 할인과 예비전력 요금 면제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입지 데이터센터가 22.9㎸ 배전망에 연결하면 한전에 지급해야 하는 시설공사비 50%를 할인하고, 154㎸ 송전망 연결시 대용량 전력 소비 고객이 부담하는 예비전력 요금을 면제할 예정이다.
산업부가 선정한 후보 지역 기준은 △버려질 수 있는 에너지 최대한 활용 △지리적 집적 효과 극대화 등다.
이 기준을 만족하는 곳으로 송전선로 건설 지연으로 신한울 1·2호기, GS 동해전력·강릉에코파워 등 발전소 제한 가동 우려가 있는 강원지역,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로 인한 잉여전력 활용이 가능한 제주·호남지역이 꼽혔다.
수력발전·수열을 함께 활용하거나, 액화천연가스(LNG) 냉열을 활용해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온도 조절에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지 지역도 발굴할 방침이다.
이들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기업에 △기존 제도 및 지자체와 연계한 금융·세제·보조금 지원 △전력 직접 거래(PPA) 활용·확대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실제 강원도의 경우 5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 시 70% 달하는 최대 350억원을, 전라남도는 최소 100억원에서 최대 1000억원, 전라북도는 3000억원 이상 투자시 300억원 의 투자보조금 지원을 내걸었다.
![]() |
▲자료=산업부. |
산업부는 이번 회의에서 지난 1월 발표한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클라우드산업 종합지원 대책 등 관련 계획에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 방안을 포함한다. 국토교통부는 데이터센터 특화 클러스터 조성과 데이터센터 건설 관련 절차 신속 지원 등을 위해 관계부처에 협조를 요청했다.
산업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방 입지 희망 데이터센터 기업을 발굴한다. 산업부와 한국전력공사, 지자체는 강원·경북·전남·전북 등에 지역별 맞춤형 투자 지원단을 밀착 지원하고 투자 애로 해소를 지원한다.
산업부는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향후 지방 입지 희망 데이터센터 투자 기업도 발굴한다. 올해 2분기 이후 데이터센터 투자가 확정되면 관련기관 간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할 계획이다.
장영진 산업부 차관은 "데이터센터는 디지털경제 핵심이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면서 송·배전망 등 전력 인프라 추가 건설이 부담되고, 계통 혼잡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면서 "데이터센터의 적기 건설,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전력 공급이 풍부하며 계통 접속이 원활한 지역으로 입지를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