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후 첫 개학일인 지난 2일 광주광역시 동구 동산초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이 여전히 마스크를 착용한 채 수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정부가 이달 말 코로나19 일상회복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의무와 대중교통 등 남은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조정하는 논의에 본격 착수한다.
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위기경보 단계 하향을 포함해 △감염병 등급 조정 △7일간의 격리의무 전환 △마스크 착용 전면 해제 등 남아있는 방역 규제들에 대한 논의를 본격 시작해 이달 말 세부적인 일상회복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3일 조규홍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이제 코로나19 위기경보 단계 하향과 감염병 등급 조정, 7일 격리의무 전환, 마스크 착용 전면 해제 등 남아있는 방역 규제들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방역당국은 코로나19 검사와 격리 의무, 치료제 지원, 확진자 재정지원 등 방역 조치별 전환 계획은 관계부처 논의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이달 중 전환 방향과 시행 시점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4월 말~5월 초에 위기평가회의를 소집해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현재의 ‘심각’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조정하는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다음달 말 열리는 회의에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해제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미리 일상적 관리체계로 전환할 준비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추이는 안정적이다. 올해 1월 첫째주(1월 1~7일) 주간 일평균 5만9227명이었던 확진자 수는 2월 넷째주(2월 19~25일) 1만70명으로 줄었다. 위중증 환자 수도 올해 들어 꾸준히 감소해 연초 주간 일평균 524명에서 190명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사망자 수도 57명에서 14명으로 감소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고령층의 2가 백신 접종률이 저조한 만큼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해제 등 완전한 일상회복 조치에 신중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지난 2일 기준 60세 이상의 동절기 추가 접종률은 32.7%로, 정부가 목표했던 50%에 못 미친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자신의 SNS를 통해 "고위험시설 특히 병원과 요양병원은 엔데믹을 선언해 2019년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려면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며 "의료기관에 대한 충분한 지원 없이 의료기관 내의 코로나19 감염관리 정책을 완화하면 상당한 피해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 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면서 대중교통 등 남은 조치에 대해서는 현재 ‘심각’ 단계인 코로나19 경보가 ‘경계’나 ‘주의’로 하향되거나, 코로나19 법정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조정될 때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규홍 장관은 "실내 마스크 의무 조정 후 첫 새 학기가 시작됐고 3월 초부터 4월 말까지 확진자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며 "교육청과 학교는 학생 건강을 최우선으로 해 방역을 철저히 해달라"고 주문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