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가구당 빚 19년 만에 처음 줄었다…금리 상승·1인가구 증가 등 영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27 13:17

작년 8650만원…전체 가계부채 규모·1인당 빚은 소폭 증가



작년 가계지출 4분의 1 이상이 세금·이자비용…‘역대 최대’

5.jpeg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가구당 빚이 지난해 8650만원으로 19년만에 처음 줄어들었다.

다만 전체 가계부채 규모는 1867조원으로, 인구 1인당 부채는 3616만원으로 각각 소폭 늘었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67조원으로 전년 말(1863조원)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한은은 지난 2002년부터 가계신용 통계를 작성해오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 가구 추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가구는 2158만가구였다.

이에 따라 가계신용을 전체 가구수로 나눈 가구당 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8652만원으로 전년 말(8755만원) 대비 1.17% 감소했다.

연말 기준 가구당 부채가 감소한 것은 지난 2002년 3076만원에서 2003년 3059만원으로 0.56% 줄어든 이후 처음이다.

이후 2003년부터 2021년까지는 단 한 해도 빠짐없이 가구당 부채가 증가세를 나타냈다.

가구당 부채는 2002년 3076만원에서 2007년(4008만원) 4000만원선을, 다시 2011년(5124만원) 5000만원선을 넘었다.

2015년(6328만원) 6000만원선을 돌파한 데 이어 2016년 6963만원, 2017년 7412만원, 2018년 7731만원, 2019년 7916만원, 2020년 8343만원, 2021년 8755만원까지 불어났다.

지난해 말 기준 가구당 빚이 감소한 것은 한국은행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과 이로 인한 부동산 시장 침체로 가계대출 규모 자체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은 2022년 말 1757조원에서 지난해 말 1749조원으로 0.46% 감소했다.

반면 전국 가구수는 2021년 2128만가구에서 2022년 2158만가구로 1.4% 증가했다.

가구수 증가 속도에 비해 가계대출을 포함한 가계신용 증가 속도가 낮아 가구당 빚 규모가 감소한 것이다.

반면 인구 1인당 빚은 2021년 말 3600만원에서 2022년 말 3616만원으로 0.4% 증가했다.

인구 1인당 빚은 가계신용 통계작성을 시작한 2002년 이후 단 한 차례도 빠짐없이 매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가구수와 달리 전체 인구수는 2020년 5184만명을 정점으로 2021년 5174만명으로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5163만명으로 다시 줄었기 때문이다.

최근의 금리 상승과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대출 수요가 줄어든 만큼 가구당 빚은 올해도 감소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53조4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6000억원 줄었다.

가계대출은 작년 9월 이후 11월까지 계속 뒷걸음치다가 12월 3000억원 늘었는데, 다시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집계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도 1월 8조원 줄었다.

한편 이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지출 4분의 1 이상이 세금이나 이자 비용이었다.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95만 1000원으로 1년 전보다 8.0% 증가했다. 전체 가계지출(359만1000원)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은 26.5%로 전년(26.1%)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인 가구 포함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래 연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비소비지출 비중은 2017년까지만 해도 22.9%에 그쳤으나 2018년 23.7%, 2019년 26.2%, 2020년 25.9%, 2021년 26.1% 등으로 올랐다.

비소비지출은 가계가 지출하는 비용 가운데 세금이나 이자 지출 등을 포함한 경직성 비용을 뜻한다.

비소비지출이 늘수록 개인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에 활용할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전체 소득-비소비지출)은 줄어들게 된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이자비용(9만9000원)이 1년 전보다 15.3% 급증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을 비롯한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jj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