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아름

beauty@ekn.kr

김아름기자 기사모음




한경연 "코로나 이후 韓 앵겔지수, 주요국(G5) 대비 상승폭 가장 가팔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6 13:35
WN

▲주요국 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 지료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오르면서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 역시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에 따르면 주요국별(G5)과 한국의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 직전이었던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포인트 상승해 같은 기간 G5 국가 평균(0.9%포인트)보다 가파르게 올랐다.

한경연은 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승한 이유로 국내 식품물가가 급등한 점을 꼽았다. UN 식량농업기구 조사를 보면 코로나 이후(2020~2021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5.2%를 기록해 G5 평균인 1.7%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한경연은 또 다른 이유로 취약한 식량 안보를 지목했다. 한경연은 "한국의 경우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등 식량안보 수준이 낮아, 코로나와 같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식품물가가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한국의 ‘곡물 자급률’(곡물 소비량 중 국내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9.4%에 그쳐 주요국 중 최저 수준이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그룹에서 발표하는 ‘식량안보지수’에서도 한국의 순위는 2022년 세계 113개국 중 39위에 불과했다.

다음 이유론 소비성향 약화를 짚었다. 한국은 코로나19 팬데믹동안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이 2019년 4분기 71.2%에서 2021년 4분기 67.3%로 3.9%포인트 감소했다.

한경연은 "이처럼 한국 가계소비 자체가 둔화한 것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가계는 소비성향이 약화될수록 내구재 등 비필수적 소비를 줄여나가는 만큼, 전체소비 중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식료품 소비지출은 코로나 직전이었던 2019년 4분기 9.9%에서 2021년 4분기 10.7%로 0.8%포인트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자동차와 의류·신발, 통신장비 등의 내구재 소비는 감소했다.

한경연은 식품가격 급등 등으로 엥겔지수가 높아지면, 저소득층의 생계가 특히 어려워진다고 진단하며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등 식품물가 상승 폭 최소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식품가격이 오를 경우 저소득층의 피해가 커진다"라며,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식품물가 상승 폭을 최소화하여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