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한국해양진흥공사, 국내 중소선사 애로사항 '해결사'로 나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5 15:24

중소선사 경기 침체·환경규제 등 올해 행보 '가시밭길'
해진공 "올해 중소선사 대상 특별지원 프로그램 확대"

김양수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사진=한국해양진흥공사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국내 중소선사 애로사항 해결사로 나서고 있다. 대다수의 국내 중소선사들이 올해 금융환경·환경규제·해운시황 등의 영향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소선사들의 올해 행보는 가시밭길로 예상된다. 전세계 고금리 기조로 인한 긴축이 시행됨에 따라, 경쟁력이 낮은 중소선사들은 재무구조가 열위해지고 금융시장에서 소외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대형선사들의 시장 영향력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해양환경규제는 강화되고 있다. 특히 해상운임 지수와 물동량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면서 해운 시장 자체가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다.

이에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중소선사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은 지난해 해양수산부와 함께 마련한 ‘중소선사 특별지원 프로그램’이다. 2500억원 규모의 기금을 마련해 2026년까지 중소선사의 선박 도입 금융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금융권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는 신용도 B등급 이하의 선사와 3년 이하의 운항 실적을 보유한 신생 선사도 지원 대상에 포함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일부 개정하며 금융리스(S&LB, Sale& Lease Back) 사업을 도입했다. 이는 중소선사가 신규 선박 발주를 원하지만 자금이 부족할 때, 선사가 보유중인 선박을 공사가 매입·재임대하는 사업이다. 이 과정에서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중소선사는 당장 필요한 발주 대금을 확보할 수 있고, 기존 보유 선박도 운영할 수 있다.

공사는 올해부터 ‘친환경 설비 개량 이차보전 사업’도 펼친다. 국적선사는 친환경설비 도입 시 해수부로부터 관련 대출 이자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와 연계한 ‘친환경 설비 특별보증사업’도 전개중이다. 선사는 공사 특별보증을 통해 친환경 설비 설치자금의 최대 80%까지 대출 받을 수 있다. 실제로 공사는 2019년 4월부터 지난해까지 42개 선사의 271대 설비에 대해 총 5436억원의 특별보증을 승인했다.

이외에도 공사는 △규모가 작은 중소선사도 적정한 신용등급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신용등급 평가모형 개선’ △우리나라 출발 연근해 항로를 반영한 ‘한국형 컨테이너운임지수(KCCI)’ 발표 △저시황기 국적 선사의 유동성 확보 및 구조개선을 지원하는 ‘위기대응 펀드’ 등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상대적으로 위기대응 역량이 부족한 중소선사에 대한 특별지원 프로그램 지속과 연안선사에 대한 신용보증사업 확대를 추진하겠다"며 "올해 해양산업의 위기극복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전날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을 발표하며 해운산업 투자여건 개선 사업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최대 4조5000억원 규모의 공공기금을 조성한다. 아울러 지난해 종료된 ‘친환경선박 지원 프로그램’은 기존 노후선 폐선 전재조건을 없애고, 해상교통안전공사 친환경선박 인증 선박 건조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전환한다.
lsj@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