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부산發 해상운임도 반토막… 국내 중소선사 침체 우려 커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3 15:44

KCCI 3개월 만에 2892→1560 '반토막'

해운

▲KCCI가 3개월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며 국내 중소선사들의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해운 시장이 다운사이클로 진입함에 따라 국내 중소선사들의 걱정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연근해와 중장거리 항로를 반영한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가 3개월 만에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재무구조가 탄탄하지 않은 일부 중소선사들은 고금리 상황 속 신규 대출을 받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13일 KCCI는 전주 1574보다 14포인트 떨어진 1560을 기록했다. KCCI가 출범한 지난해 11월 7일(2892) 대비 47% 하락한 수치다. KCCI는 해양수산부와 해양진흥공사가 개발해 매주 월요일 오후 2시에 이를 발표하고 있다. 부산항에서 출발하는 컨테이너 운임을 기준으로 하는 신규 운임지수로, 한국 ↔ 일본·중국·동남아시아 등 연근해와 중장거리 항로의 운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항로별로는 연근해 주요 항로인 중국(KCI), 일본(KJI), 동남아시아(KSEI) 운임이 같은 기간 동안 각각 10%·15%·34% 감소했다. 중장거리 항로 역시 운임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같은 기간 동안 중동(KMEI) 항로 39%, 호주(KAUI) 항로 67%, 중남미서안(KLWI) 항로 55%, 중남미동안(KLEI) 항로가 69% 만큼 각각 감소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해운 시장이 침체기에 들어가는 상황에 중소선사들은 더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내 중소선사들은 해상운임이 떨어지는 수치 이상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대형 선사와 비교해 부채 비율이 높고 현금 유동성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년간 이어진 해운시장의 활황 속 중소선사들은 부채 해결도 급급했다. 부채 해결도 다하지 못한 중소선사들은 고금리 상황에 신규 대출 이자도 감당하기 힘든 상황이다. 선박을 팔며 운영자금을 확보하는 중소선사들도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11월 해운업계 경쟁력 확보를 위해 3조원 규모의 지원책을 마련했다. 국적 해운사의 구조조정 지원 등을 위한 ‘위기대응펀드’를 최대 1조원 규모로 조성하고 중소선사들을 대상으로 투자요율과 보증료율을 대폭 인하해 2500억원을 지원한다. 위기 발생 시 신속히 지원하기 위해 5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전자금도 준비한다.

한국해양진흥공사 관계자는 "해운 시황 침체가 염려되는 시기 중소선사의 지원을 위해 신용 평가에 있어 해운업 특수성을 반영하고 수혜 선사를 확대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이외에도 국내 중소선사들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lsj@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