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업부의 2023년 자동차 산업 지원 계획. 정부는 적극적인 지원책을 통해 한국 자동차 산업을 ‘글로벌 3강’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수립한 상태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친환경차, 자율차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지원 대상과제’에 대해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 자동차 분야 총지원 예산은 지난해보다 647억원 증가된 4994억원으로 책정됐다.
정부는 지난해 9월 민·관이 합심해 미래차로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을 위한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글로벌 주요국이 친환경·자율주행 등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올해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와 자율주행 등 디지털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투자 확대기조를 유지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아울러 ‘해외수출형 전기기관차’ 기술개발, ‘지역연계형 기반구축’ 사업 등 우리 부품업계의 수출지원과 기술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신규과제도 마련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애 2293억원, 자율주행 등 디지털 분야에 1383억원을 쓴다. 기반구축·사업화 지원(1003억원), 인력양성(315억원) 등 4개 분야에 걸쳐 311개 과제를 추진한다.
박동일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글로벌 기업들의 내연차 생산중단 선언과 디지털 혁신 등으로 멀 것만 같았던 친환경, 자율주행 등 미래차 대중화 시기가 빠르게 당겨지는 추세"라며 "정부는 우리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민간의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고, 중소·중견부품업체에 대한 기술개발과 기업지원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