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국토부가 주택건설사업 자금조달 지원 일환으로 분양사업으로 민간임대로 전환 지원하는 방식으로 공모를 추진 중에 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 단지인 서울 구로구 고척동 ‘고척아이파크’ 전경. 사진=김기령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전국적으로 미분양 아파트가 증가하자 각 건설사들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민간임대지원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 역시 자금조달에 허덕이는 건설사들을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보증을 확대하는 것에 이어 민간임대사업 전환 지원을 실시한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공공지원 민간임대지원 사업은 고금리 기조 및 부동산 경기침체 상황에서 수익성은 없으나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 사업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말 ‘내집마련 민간임대 시범사업’과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을 공모했다. 고향장항(1017가구)에서 진행하는 내집마련 민간임대 시범사업에는 건설사 중 대우건설, 우미건설, 제일건설, 동부건설 등이 참가의향서를 제출했다.
또한 청주지북 A1·3(1201가구), 경산대임 A10·B2(982가구), 광주선운2 B1(494가구), 부산기장 A1(1100가구) 등 공공지원 민간임대사업에는 DL이앤씨와 제일건설, 우미건설, 금호건설, 서한 등이 질의를 요청하는 등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참여했던 대방건설과 호반건설 등은 참가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사업검토 의도는 각기 다르다. 미분양 증가와 상관없이 일반분양과 민간임대를 병행하는 건설사는 올해도 사업을 이어간다. 또 사업의향서를 우선 제출하고 추후 사업성을 검토하는 업체도 있다. 그런가 하면 최근 분양사업이 씨가 말라 민간임대 등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건설사도 있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함께 상반기 공공지원 민간임대 민간제안 공모 시기에 분양사업을 임대사업으로 전환 희망하는 사업장에 대한 별도 공모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리상승 및 부동산 경기침체로 미분양 아파트 숫자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분양 증가로 인해 앞서 국토부는 주택건설 사업 자금조달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HUG의 PF대출 보증을 확대하기도 했다. 착공 전 단계에선 브릿지론에서 본 PF대출로 원활하게 넘어가도록 공급 규모를 10조원으로 늘렸다. 착공 후에는 자금조달 리스크가 큰 PF-ABCP 등을 만기가 긴 HUG 보증을 통해 대환할 수 있도록 상품도 신설했다.
여기에 준공 전 미분양이 발생해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사업장에는 미분양 PF 보증상품(5조원)도 신설했다. 악성 미분양 사업장(준공 후 미분양)은 HUG의 주택담보대출 보증을 통해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올 상반기에는 미분양 아파트가 증가하자 분양사업을 임대사업으로 전환 희망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10년 임대 후 처분조건을 지닌 ‘공공지원 민간임대’ 전환을 지원하게 된 것이다.
본래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10년간 살 수 있게 하는 대책이다. 무주택자 대상 일반공급은 주변 시세 95% 이하, 특별공급은 75% 이하로 공급한다. 이 중 청년·신혼부부·고령자 등 특별공급에 30% 물량을 배정하고 있다.
주거복지 포털 ‘마이홈’에 따르면 서울에선 지난해 7월 모집한 힐스테이트 관악 뉴포레(공공지원 민간임대 139가구) 전용 59㎡의 보증금은 2억2500만원이고 월 임대료는 32만8000원이었다. 인근 도시형생활주택 영등포자이르네 전용 66㎡가 전세 3억7000만원대인 것과 비교하면 꽤 저렴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미분양 아파트가 증가하고 부동산 경기 침체인 만큼 분양사업을 임대로 전환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사업을 상반기 중에 모집할 계획이다"며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으나 현재 공모지침을 만들고 있는 중이다"고 밝혔다.
중견건설사 한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 및 부동산 경기침체 상황에서 수익성은 없으나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 사업이다"고 말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