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생산라인. 르노코리아 협력업체들은 12일 "생존을 위해 수출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냈다.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르노코리아자동차 협력업체들이 "생존을 위해 수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호소문을 냈다.
르노코리아자동차협력업체협의회는 12일 입장문을 통해 "자동차 수출 위기 국면에 따른 수출 지원 방안을 정부와 부산시 그리고 지역 경제계에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 반도체 부품 부족, 원부자재 가격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등 많은 이슈를 극복해 왔다"며 "최근 2배 이상 높아진 수출 물류비로 인해 어렵게 버텨온 자동차 수출 경쟁력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계 각국이 자국 경제를 위해 해상 수출입 물류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기존의 수출 지원 정책에 더해, 특히 전용 선사가 없는 국내 자동차 완성차 및 부품 협력업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수출 물류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르노코리아와 부품 협력업체들은 부산 지역 수출 경제의 15~2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완성차 수출 물량은 전년 대비 63.3% 증가한 11만7020대를 기록했다. 다만 급격한 물류비 상승으로 올해 수출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진 상태다.
르노코리아 1차 협력업체 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제외한 중소 협력업체의 종업원 수는 약 6만4000명이다.
협의회는 "정부의 수출 지원 인식을 지지한다"며 "자동차 전용 수출 선박 확보와 수출 물류비 개선, 항만 시설 이용 비용 개선 등을 위한 관계 부처와 부산시의 신속하고 실질적인 후속 지원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요청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