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설현장 이미지. 픽사베이 |
25일 건설업계 관련기관에 따르면 건설산업은 금리 및 자재가격 상승, SOC(사회간접자본) 예산감소, 부동산PF대출 부실 우려에 의한 자금경색 등으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어려운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도 건설산업 주요 분야 사업 기상도 | ||
분야 | 기상도 | 주요 이슈 |
토목건설 | 대체로 흐림 | SOC예산 5년만 감소, 자재가격 상승 공공건설 연속 유찰 |
주택건설 | 먹구름 | 전국 아파트 미분양 증가, 부동산 ABCP 등 PF 금리 상승 |
해외건설 | 맑음 | 중동시장 발주 의지 확대, 사우디 네옴시티 수주 추가 가능성 |
정비사업 | 흐림뒤갬 | 재건축 3대 대못 규제완화, 분양시장 침체로 업계 수주 총력 |
예산은 줄어드는데 현 공사비용마저 보전되지 못해 대형공사들이 줄줄이 유찰되는 사태도 발생했다. 건산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기술형 입찰 18건 중 11건에서 유찰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규 사업 발주는 손에 꼽을 정도도 저조하다.
자재가격 상승도 위험요소다. 건산연의 조사에 따르면 설문 대상 전체 기업 중 62.2%가 공사용 자재가격이 30% 이상에서 50% 미만까지 올랐다고 답한 바 있다. 건설 자재가격 급등으로 공공건설시장의 최소 수익성조차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일감마저 줄어든 것이다.
주택건설사업에는 ‘먹구름’이 드리웠다.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인해 전국에서 미분양이 폭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10월 말 기준 4만7217가구로 1년 전보다 3배 이상 늘었다. 증가세도 가파르다.
본래 미분양 급증은 주택 시장을 어렵게 한다. 건설업체들이 투자비를 적기에 받지 못하면 유동성 위기가 도래하고, 이는 곧 건설업체 줄도산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한 증권사 및 저축은행 부실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6월 기준 부실이 우려되는 사업장의 담보 대출 규모가 17조원이 넘는 것으로 봤다. 특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금리가 4배나 뛰었다. 내년 2월까지 PF 유동화증권 만기가 돌아오는 만큼 차환이나 상환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종합건설업체 중 5곳이 최종 부도처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에는 충남지역 도급순위 6위인 우석건설이, 지난달엔 경남지역 18위인 동원건설산업이 도산했다.
해외건설은 ‘맑음’이다. 최근에는 국제유가가 재차 하락하고 환율도 떨어지긴 했지만 올해 하반기엔 고환율 및 고유가를 바탕으로 중동지역 주요 발주처 투자 의지가 증가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핵심 사업인 네옴프로젝트만으로도 호재다. 전제 사업비 5000억달러 중 건설비용을 40% 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2000억 달러의 발주시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건설기업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시정비사업은 대형건설사 등에 한해 ‘비온뒤 갬’이다. 윤석열 정부 이후 재건축의 3대 대못인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 방안이 차례대로 개편됐다.
다만 여전히 규제는 완화수준일 뿐 폐지가 아니기에 시장 적극성은 미지수다. 게다가 도시정비사업 시장 역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그럼에도 도시정비사업은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하는 만큼 대형건설사들의 일감 확보를 보장하고 있다. 중견건설사들 중에서도 분양시장 침체기엔 리모델링을 비롯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하는 도시정비사업 수주에 열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김영덕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년 건설경기는 올해에 비해 악화될 가능성이 크고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생산과정에서 비용 상승과 수익성 저하가 뚜렷이 나타날 것으로 보여 단기 처방보단 향후 경쟁 환경에서 실질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재정비가 필요해 보이는 시기다"라고 설명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