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희룡 국토부 장관(오른쪽에서 다섯번째)을 중심으로 현대건설 윤영준 사장(오른쪽)과 한국도로공사 김일환 사장 직무대행(왼쪽) 등 정부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 및 시공사 관계자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13일 국토교통부와 현대건설에 따르면 경기 파주시 소재 ‘고속국도 제400호선 김포-파주간 건설공사 제2공구’ 현장에서 국내 최대 단면 쉴드 ‘한강터널 TBM 굴진 기념식’이 이날 열렸다.
TBM(Tunnel Boring Machine)은 다수의 디스크 커터가 장착된 커터 헤드를 회전시켜 암반을 뚫는 원통형 회전식 터널 굴진기다. 발파 공법에 비해 소음과 진동, 분진 등의 발생이 적고 시공성과 안전성이 높아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한강터널을 굴진하는 ‘이수식 쉴드 TBM’은 터널 굴착부터 벽면 조립, 토사 배출까지 터널 공사의 모든 공정을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초대형 선진 장비다. 과거 우리나라 터널은 대부분 발파공법으로 건설했다. 그렇다 보니 도시지역은 저소음, 저진동 공법을 적용해도 이에 대한 우려가 늘 있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발파공법이 아닌 진동과 소음이 없는 기계식 굴착공법을 사용해 안전과 환경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한 첨단장비라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기념사를 통해 밝혔다.
‘고속국도 제400호선 김포-파주간 건설공사 제2공구’는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건설 구간 중 경기 김포시 하성면 마곡리부터 파주시 연다산동을 잇는 총 연장 6734km 도로로, 한강 밑을 통과하는 2.98km 터널과 나들목, 2개 교량을 포함한다. 이중에서도 이수식 쉴드 TBM 공법으로 하저를 관통하는 국내 최초 도로터널, 한강터널이 주목받고 있다.
한강터널 구간은 터널 상부 흙 두께가 비교적 얕고 수압이 높으며 복합지반으로 이뤄진 고난이도 현장이다. 한강터널 굴진에 사용하는 TBM은 직경 14.01m, 총 길이 125m, 무게 3184t의 초대형 장비로, 국내 최대 구경이자 해외에서도 시공사례가 흔치 않은 규모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서는 TBM 기계에 대한 명명식도 함께 진행했다. 땅 밑으로 다니기에 가장 친한 동물로 인식돼 친숙한 이름인 ‘두더지’로 이름을 붙였다.
이는‘두’배 ‘더’안전한 ‘지’하터널이라는 의미와 함께 해외 대규모 터널사업의 TBM장비에 이름을 붙인 사례를 참고한 것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내 최장 해저터널인 보령해저터널, 국내 최대 깊이 지하터널인 서부간선지하도로 등 수많은 터널 공사를 통해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터널 시공의 기계화, 기술의 첨단화를 선도하고 있다"며 "최근 도심 내 GTX 노선 등 도시철도 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터널 공사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다양한 기술을 적극 도입해 터널 건설의 선진화에 앞장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