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행 멈춘 화물차량.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건설·자재업계가 셧다운 위기에 처했다면 운송거부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28일 대한건설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한국주택협회, 한국시멘트협회, 한국레미콘공업협회,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등 6개 단체는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 대한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업계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물가, 고금리, 유동성 부족 등 대내외적 요인으로 큰 어려움에 처한 가운데, 집단운송거부까지 겹치며 업 존폐를 위협받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업계는 "화물연대의 불법적 집단운송거부는 비노조원의 노동권, 건설·자재업계 종사자의 생계, 국가물류와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을 볼모로 국가경제를 위기에 처하게 만드는 명분없는 이기주의적 행동이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화물연대 불법행위 엄정 대처도 요구했다. 이들은 "지금까지는 노동관련단체들이 불법행위를 해도 처벌을 받지 않는다는 인식이 뿌리깊게 박혀 법을 무시하고 자신들의 이익 챙기기에 골몰해 왔던 게 사실이다"며 "화물연대의 불법행위에 대해 신속하고 엄정한 법 집행을 해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이날 9시부로 육상화물운송분야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심각’ 단계는 관심, 주의, 경계에 이어 최고 위기경보 단계다.
이렇게 되면 대응체계는 범정부 차원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강화되며,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경찰청, 국방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종합 비상대책을 시행하게 된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