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서울 마포구 마포 프론트원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벤처·창업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금융위) |
또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성장성 중심의 심사를 거쳐 창업·벤처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6조3000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신설해 운영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4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을 찾아 벤처기업인, 벤처투자업계, 금융권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혁신성장펀드를 5년간 총 15조원 규모로 조성해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고 벤처기업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혁신성장펀드는 연 3000억원 재정을 투입해 매년 3조원(재정출자비율 10%) 규모로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15조원 규모로 조성된다. 혁신산업과 성장지원 분야에 각각 연 1조5000억원씩 조성해 지원할 계획이다. 혁신산업에는 반도체, AI, 항공우주 등 신상업·전략산업분야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며, 성장지원 분야에는 창업·벤처기업의 유니콘기업 성장을 지원한다.
정책금융기관은 재무재표와 담보가치에서 벗어난 성장성 중심의 심사를 거쳐 창업·벤처기업에 6조3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기업은행은 벤처기업들이 초기 투자유치 이후 후속투자를 받기까지 자금이 부족한 기간에 시중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 대출에 0% 금리의 신주인수권부사채(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사채)를 결합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식 벤처대출을 도입한다.
기업은행은 기술력·성장잠재력 중심의 심사를 실시해 담보가 부족하거나 신용등급이 다소 낮더라도 대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도는 최근 1년 이내 투자유치금액의 50% 이내다. 창업 3년 이내 기업은 100% 이내를 지원한다.
이밖에 새로운 모험자본 기구인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도입과 공모 규제 합리화를 통해 자본시장을 통한 민간 자금 조달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표준평가모형을 통해 기술특례상장평가를 내실화하고 혁신기업의 상장을 지원한다.
김 위원장은 금융업계에도 더욱 적극적인 자금공급과 창업기업의 보육·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당부했다.
금융권에서는 벤처업계의 애로사항에 공감하며 창업·벤처생태계에 대한 직·간접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위와 정책금융기관을 비롯한 금융권은 우리경제의 혁신이 멈추지 않도록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