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23.32포인트(0.96%) 오른 2,441.33으로 장을 종료했다. |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인상 속도 조절을 언급하면서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전문가들은 금리 속도 조절이 증시에 호재로 미치는 지속성은 길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발 안도 랠리를 기대해볼만 하다고 전망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장대비 23.32포인트(0.96%) 오른 2441.33으로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19.50포인트(0.81%) 오른 2437.51로 개장한 뒤 상승 폭을 키워나갔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2.63포인트(1.74%) 상승한 738.22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전장보다 0.74%포인트(0.10%) 오른 726.33으로 개장했다.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3.6원 내린 1328.2원으로 마감했다.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14.3원 내린 1337.5원으로 출발했다.
국내 증시는 한국과 미국의 긴축 속도 조절을 확인하면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올해 마지막 본회의에서 베이비스텝을 결정, 기준금리를 3.25%로 올렸다. 한국 기준금리가 3.25%로 올라온 건 2011년 이후 처음이다.
금통위가 ‘베이비 스텝’을 결정한 이유는 원·달러 환율은 떨어진 반면 국내 금융시장은 불안정해진 영향이 크다. 금통위는 지난해 8월 2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다. 이후 같은 해 11월과 올해 1·4·5·7·8·10월, 이날까지 모두 2.75%포인트(0.25%포인트씩 일곱 차례, 0.50%포인트 두 차례)를 올렸다.
![]() |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 AFP/연합 |
특히 FOMC 의사록 공개를 통해 많은 위원들이 곧 금리인상 속도조절을 할 것임을 주장했다는 소식도 긍정적이다. 시장 참여자들이 금리선물을 통해 Fed의 최종 금리에 대해 5%로 전망했다는 점과 연준 목표치인 인플레이션 2%대 안착에 충분할 정도로 제한적인 수준에 가까워졌다는 판단을 내놓으면서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는 국내 기준금리가 0.25%p 인상에 그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긴축 속도 조절 여부를 확인했기 때문에 투자심리가 점차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달러 약세 및 국채금리 하락에 힘입어 미국 증시가 상승한 점과 미국의 최종 금리가 5%로 전망되는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달러 약세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16원 내외 하락 출발하는 등 원화 강세 가능성이 높아 외국인 수급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미 시장이 예상한 내용이 선반영된 만큼 큰 폭의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중론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0.25%포인트 인상이 유력시됐었기 때문에 이제 국내 증시는 이보다는 향후 경제 전망 및 통화정책 방향을 둘러싼 변화가 관전 포인트일 것"이라며 "Fed의 긴축 의지에 대한 강도가 이전보다 덜 거세졌다는 점은 증시 참여자들 입장에서 반길만한 일이지만, 이미 주가에는 상당 부분 선반영해왔던 만큼 속도 조절이 증시에 호재로서 미치는 지속성은 길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한미 금리차 확대에 따른 원·달러 환율 부담이 커져 증시 반등폭이 제한적일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미국과의 금리 격차는 일단 0.75%포인트로 좁혀졌지만, 오는 12월 FOMC 결과를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 만일 다음 달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밟게 되면 미 금리는 4.25~4.5%가 돼 격차는 1.25%포인트로 다시 확대된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그간 국내 경기나 금융시장에 부담을 가중시키던 금리 인상 보폭을 줄인 것은 증시에 안도감을 줄 수 있으나,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로 환율 안정성을 주춤거리게 할 수 있다"며 "한미 금리 역전 폭 확대는 외국인 자본 유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보수적은 투자 전략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