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업은행은 16일 금융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투명·공정하게 이뤄져야 할 기업은행장 선임이 혼탁해지고 있다"며 "모피아·금융위 출신 올드보이들이 정은보 전 금감원장을 밀고, ‘모피아의 대부’로 불리는 모 인사가 실질적으로 대통령의 공공기관장 임명권을 쥐고 있다는 설이 파다하다"고 밝혔다.
노조는 "2020년 기업은행장 선임 국면에서 금융위(은성수 전 위원장)는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함께 기업은행 노동조합에 이른바 ‘낙하산’ 인사 임명에 사과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고, 노사 합의사항에는 행장을 포함한 ‘임원 선임 절차의 투명성·공정성 제고’도 명시했다"고 말했다.
노조는 "금융위는 이제라도 기업은행 행장 선임 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일 방안을 수립·천명하라"고 밝혔다.
기업은행 노조는 "조합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4%가 내부 출신 행장을 원한다고 답했다"고 했다. 차기 은행장이 갖춰야 할 자질에 대한 설문에서는 기업은행에 대한 ‘전문성’과 ‘충성도’를 꼽았고, 외부 출신 행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조직에 대한 이해 부족’과 ‘친정부 정책 추진’이라고 답했다.
지부는 "자질과 전문성 대신 출신과 뒷배가 행장 선임의 주요 고려사항이 된다면 기업은행에도, 국가적으로도 불행한 일"이라며 "공정과 상식을 국정 기조로 둔 윤석열 정부의 눈을 가리는 이들은 결국 국정 실패를 이끄는 세력"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지부는 "이제라도 기업은행장 선임 절차의 투명성, 공정성을 높일 방안을 수립, 천명해야 한다"며 "낙하산은 꿈도 꾸지 말아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