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韓, 세계 6대 우주패권국과 어깨 나란히 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08 17:30

안형준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팀장, '2022 우주포럼'서 발표



"우주항공청, 우주 특성 반영한 형태로 신설되길 기대"

우주포럼

▲8일 서울 강남구 SC컨벤션에 열린 ‘2022 우주포럼’에서 안형준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팀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승주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우리나라는 누리호에 이어 차세대 대형 발사체에 대한 기획과 예비타당성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 이는 기존 우주 선진 6개국인 미국·중국·러시아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우주 패권국에 들어가겠다는 선언이다."

안형준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팀장은 8일 서울 강남구 SC컨벤션에서 한국우주과학기술단체연합회 주최, 한국항공우주학회 주관으로 열린 ‘2022 우주포럼’에서 ‘우리나라 제4차 우주개발진흥계획을 중심으로 한 화두·목표’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 우주산업의 미래와 4차우주개발진흥계획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4차 우주개발진흥계획에서 중요하게 삼고있는 키워드는 우주 정책 2.0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간 위성개발, 활용서비스, 발사체 중심의 세 가지 측면에서 한정됐던 우주 산업을 우주탐사, 우주경제, 우주안보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봤다.

안 팀장이 이같이 범위 확대를 강조한 이유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회의 우주시스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그간 우주는 국민들의 일상과 멀리 떨어져 있었는데 민간의 참여 확대와 투자 규모 증가로 이해관계자가 많아졌다"며 "이제는 우주기술을 이용해서 사회,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등 사회시스템의 일부로 올라왔다"고 말했다.

안 팀장은 우리나라의 우주 산업 위치에 대해 △발사체 △위성 △우주탐사 △투자 분야에 나눠 설명했다. 안 팀장은 "우주 개발과 관련된 영역에서 인식의 전환 뿐만 아니라 투자 개발에 더 많은 역량을 투자 해야 한다"며 "우리나라의 GDP 대비 우주개발 예산은 선진국들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수준이다. 이러한 예산 확대 부분도 이번 4차 기본계획에 담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주 학회나 연구진들의 커뮤니티 내 뿐만 아니라 우주에 대한 전국민의 인식을 바꿔야 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미래 우주 선직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주 경제 확립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 팀장은 "우주진흥계획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너무 크다"며 "그간 계획은 전문가 커뮤니티의 수요조사 방식이 주요했으나 앞으로는 정치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곳에서 장기적인 보고서 형태의 비전을 모아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표가 끝나고 이어진 우주항공청 거버넌스에 대한 만담에서 안 팀장은 우주항공청 신설이 정부조직법이 아닌 특별법 형태로 나온다는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4월 이 장소에서 우주개발 거버넌스 행사를 했다. 많은 제안과 의견을 드렸는데 반년이 넘은 지금 어떻게 반영이 됐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며 "우주항공청에 대해 의견 수렴 없이 덜컥 만드는 것 보다 특별법으로 우주 특성을 반영한 형태로 신설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우주항공청 롤 모델로 나사를 지목했다"며 "산업, 국제협력 등에서 나사의 비전과 철학을 배울 필요가 있어 보인다. 우주항공청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lsj@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