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정부 "후판價 협상 방식 개선할 것"… 조선·철강업계 '온도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25 15:09

19일 산업부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 전략' 발표



산업부 "조선·철강업계 후판가 협상 방식 개선할 것"



조선·철강업계 후판 협상 정부 개입 두고 온도차

한국조선해양

▲한국조선해양 건조장.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조선·철강업계가 정부의 후판가 협상 방식 관련한 개선 의지에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조선업계는 적절한 개선안이 마련된다면 긍정적일 것이라고 보는 한편, 철강업계는 기업 간 협상에 정부를 끌어들이는 것은 자유 시장 경제에 반하는 행위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25일 정부에 따르면 자원통상자원부(산업부)는 지난 19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인력난·미래 선박 기술 초격차·수출 금융지원책을 마련해 경쟁력 확보를 돕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전·후방 산업인 철강·조선업 간 상생 협력과 원가 구조 개선을 위한 후판(두께 6㎜ 이상 철판) 가격 협상 방식 개선 검토 의지도 나타냈다. 통상 후판가는 업계 1위인 포스코와 현대중공업의 협상이 끝나면 타 업체가 따라가는 형식으로 진행돼왔다.

산업부 측은 우선 안정적인 후판 수급을 위해 양 업계 공동 세미나 및 연구용역 추진, 업무협약(MOU) 등을 진행해 신뢰 구축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조선용 후판 등 강재 공급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판은 선박 건조 비용의 20%를 차지해 조선업 필수 원자재로 꼽힌다. 그간 조선업계는 후판 등 원자잿값 상승으로 적자를 기록해왔다. 후판값이 2020년 t당 60만원 중후반대 수준에서 120만원대로 2배 뛰었고, 이에 따른 충당금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발표가 나오자 조선 및 철강업계는 극명한 입장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조선업계의 경우 정부 계획에 일단 ‘긍정적’이라는 의견이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조선업에 후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 정도"라며 "선박의 계약시점과 건조시점이 1∼3년 차이가 있기에 원자재 값을 예측하는 부분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양측의 상황을 모두 고려하면서 개선안을 제시한다면 안정적인 소싱(수급)과 풀필먼트(공급)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조선업계 관계자는 "당장 정부의 개선안이 도입된다면 조선업계 입장에선 긍정적이다"면서도 "워낙 업황이 자주 바뀌다보니 추후에는 입장이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올해 조선업계는 카타르발 LNG 운반선 대량 발주 프로젝트와 친환경선 기술력을 인정받아 ‘슈퍼사이클’에 진입한 상태다. 각 조선사 도크는 4년 이상 예약이 가득차 안정적인 후판 수급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만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침수, 현대제철의 파업으로 인해 안정적인 강재 공급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는 상태다.

그렇다 보니 철강업계는 자유 시장 경제 체제에서 기업 간 협상에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비판한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자유 시장 경제 체제에서 정부가 끼는 것은 말이 안되는 부분"이라며 "아마도 업계에서는 반대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lsj@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