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가 코로나19 팬데믹(범유행) 기간인 2018년 1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세계 ‘갤럭시 워치’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 세계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56분이었지만, 이후에는 7시간 2분으로 소폭 늘었다. |
11일 삼성전자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18년 1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세계 ‘갤럭시 워치’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 세계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56분이었지만, 이후에는 7시간 2분으로 소폭 늘었다.
성별로 남성(6분) 수면 시간이 여성(1분)보다 더 늘어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 미만(1분)을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6∼7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면 효율은 87.86%에서 87.79%로 소폭 감소했다. 수면 효율은 전체 수면 시간 중 깬 시간을 제외한 실제 잠을 잔 시간을 측정한 값을 말한다.
성별로 남성(0.25%p) 수면 효율이 여성(0.12%p)보다 더 많이 감소했고, 연령대별로도 대부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39세에게서는 팬데믹 이후 수면 효율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로 수면 습관을 살펴보면 한국은 팬데믹 기간 수면 시간(17분)과 수면 효율(0.64%p)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한국 수면 시간은 6시간 41분, 수면 효율은 86.73%로, 여전히 글로벌 평균치(7시간 2분, 87.79%)에는 미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수면 시간 자체보다는 수면의 질이 더 중요하다"면서 수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수면 패턴 이해하기, 다양한 수면 지표(혈중 산소 포화도, 코골이 등), 이상적인 수면 환경 조성하기 등을 조언했다.
jinso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