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진솔

jinsol@ekn.kr

이진솔기자 기사모음




배터리업계 脫중국 잰걸음…북미·아프리카서 공급망 새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28 13:51

정부, 미국 주도의 MSP 회의 참가…대응 방안 모색



LG엔솔·SK 등 북미·아프리카로 공급망 다각화 추진

ㅓ

▲수산화리튬


[에너지경제신문 이진솔 기자] 미국이 글로벌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공급망을 내재화하기 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과시자 주요 원자재를 중국에 의존해온 국내 업계 전략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업계는 소재 ‘탈중국화’를 위한 잰걸음으로 북미와 캐나다, 아프리카 등에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전방위적 협력을 모색하고 나섰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기업은 미국 IRA 시행으로 현지에서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내년부터 배터리에 탑재하는 광물 40% 이상을 북미 혹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조달해야 한다. 해당 비율은 오는 2027년 80% 이상으로 올라갈 예정이다.

국내 배터리 기업은 핵심 광물 조달을 위해 중국 기업과 긴밀한 관계를 이어왔다. 해외 주요 광물 채굴 거점을 선점한 중국 기업이 리튬과 코발트 등을 안정적으로 조달 및 정제하면 우리나라 기업이 이를 수입해 양극재와 음극재 등 배터리 핵심 소재를 만드는 식이다. 중국은 세계 정제 리튬 및 코발트 시장에서 각각 점유율 60%, 80%를 갖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배터리에 들어가는 수산화리튬 84%를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배터리 공급망을 내재화하려는 노골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세계 배터리 가치 사슬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우리 정부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최근 진행한 ‘핵심 광물 안보 파트너십(MSP)’에 참석하며 미국 측 전략에 조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6월 미국이 결성한 MSP는 리튬과 희토류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세계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기 위한 다자 협력 구상이다. 업계는 향후 MSP에 참여하는 국가 간 핵심 광물 개발 사업 등을 직접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이 리튬과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공급망을 장악한 상황에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직접 뛰어들 수 있다는 관측이다.

국내 업계는 중국 대신 북미와 아프리카 등을 뒤지며 공급망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 20일 미국 뉴욕에서 하카인데 히칠레마 잠비아 대통령과 배터리 핵심 원재료 조달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배터리 소재인 동박을 생산하는 SK넥실리스가 원자재를 공급받기 위해 잠비아 구리광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지역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22일에는 캐나다 광물업체 일렉트라, 아발론, 스노우레이크와 황산코발트 및 수산화리튬 등 배터리 핵심 광물을 공급받는 내용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캐나다는 세계 니켈 매장량 5위, 정련 코발트 생산 3위로 핵심 광물 조달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앞서 지난 6월에는 미국 리튬 기업 컴파스미네랄과 오는 2025년부터 7년에 걸쳐 탄산·수산화리튬을 공급받는 MOU를 맺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 지급 여부를 결정짓는 비율만 제시했을 뿐 중국산 광물을 어떻게 배제할지 정해진 바가 없어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중국 의존도를 조정하는 차원에서 공급망 다각화는 꾸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jinso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