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연합 |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외국인이 투자자가 보유한 코스피 주식의 시가총액 비중이 2009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강달러 압력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 턱밑까지 치솟으며 증시 수급에 부담이 커진 영향이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은 1892조원, 이 가운데 외국인 보유 주식 시총은 575조원이다.
시총을 기준으로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 비중은 30.39%다. 이는 2009년 7월 27일의 30.37% 이후 약 13년 2개월 만의 최저치다.
코스피 외국인 시총 비중은 2020년 초 40%에 육박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와 개인 주식 투자 열풍 등에 2020년 말 36.50%, 2021년 말 33.55%로 줄었다.
올해 들어서는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앞둔 1월 25일에 34.20%까지 늘었다가 점점 하락해 30%대까지 내려왔다.
추세를 고려하면 조만간 외국인 시총 비중이 3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도 충분한 상황이다. 30%대가 무너지면 2009년 7월 13일(29.92%) 이후 처음이 된다.
외국인 시총 비중 축소에는 외국인의 주식 매도 영향이 크다.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세에 속도가 붙으면서 외국인 매도세가 거세지고 있다.
원화 약세와 한미 금리 역전 등 악조건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7월과 8월에 연이어 매수 우위를 보인 외국인은 결국 9월에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이달 초 원/달러 환율은 13년 4개월여 만에 1360원을 돌파한 이후 파죽지세로 상승세를 이어가 약 2주 만에 1400원 턱밑까지 올랐다.
9월 들어 지난 16일까지 10거래일 중 외국인이 코스피 매수 우위를 보인 날은 13일(4천4억원) 단 하루다. 이 기간 누적 순매도 금액은 1조5286억원이다.
고물가 압력과 긴축에 대한 부담으로 글로벌 위험자산 투자심리가 위축된 와중에 원화 약세 심화는 외국인 자금 이탈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이다.
원/달러 환율 급등은 외국인 수급에 악재로 작용해 주가를 끌어내리고, 다시 환율 급등을 부르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8월에 2500선을 회복한 코스피는 최근 외국인 매도세에 다시 2400선 아래로 밀려나며 7월 초 이후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 단기 반등)’ 상승분을 반납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과 코스피 외국인 수급은 대체로 음(-)의 상관계수를 보인다"며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환율이 상승할 때 환차손을 키울 수 있어 자금 이탈을 가속한다"고 설명했다.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