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김도현 국민대학교 교수, 모종린 연세대학교 교수가 ‘프로젝트 꽃’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31일 네이버에 따르면 최 대표는 최근 임직원 및 외부 전문가들과 ‘프로젝트 꽃’의 새로운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에서 "네이버 직원들이 갖고 있는 회사에 대한 자부심, 일에 대한 자존감은 결국 내가 하는 일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체감하는 데서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프로젝트 꽃’의 정체성"이라며 "‘프로젝트 꽃’을 네이버의 일하는 문화로 만들어 직원들이 더 자부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프로젝트 꽃’에 대해 "플랫폼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 책임감 등에 대한 사회적 여론이 생길 때마다 진정성과 가치를 인정받아왔다"며 화두를 열었다. 그러면서 더 많은 직원들이 ‘프로젝트 꽃’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네이버의 글로벌 진출 본격화에 앞서 로컬 및 SME들을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최 대표는 "네이버의 검색, 커머스, UGC(유저창작콘텐츠), 웹툰 등 모든 서비스가 SME, 창작자, 예술가들을 더 잘 발견해내는 일들"이라며 "상생 프로그램이나 SME 디지털 전환 등에 관심이 있는 직원들은 지금 하고 있는 일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로 해볼 수 있거나 더 많은 SME들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 SME와 창작자들은 가장 중요한 파트너"라며 "이분들이 가진 역량과 제품들이 브랜드라는 자산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네이버는 최 대표의 발언이 담긴 영상을 이날 사내 게시판에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는 ‘스타트업 얼라이언스’의 이사장 김도현 국민대학교 교수와 ‘골목길 자본론’의 저자 모종린 연세대학교 교수도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