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세민

semin3824@ekn.kr

강세민기자 기사모음




[김해시 동정] ‘대한민국 동행세일’ 소비촉진행사 마련 外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8.30 13:53
[김해시 동정] ‘대한민국 동행세일’ 기간 소비촉진행사 마련

▲‘대한민국 동행세일’ 소비촉진행사 포스터. 사진=김해시.

[김해=에너지경제신문 강세민 기자] ■ ‘대한민국 동행세일’ 기간 소비촉진행사 풍성

김해시는 추석을 앞두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7일간의 동행축제(대한민국 동행세일)’에 맞춰 다채로운 행사를 선보인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소비 촉진 행사는 9월 1일부터 7일까지 펼쳐진다.

내용을 보면 7일간 동행축제 기간 동안 동상·삼방·외동시장에서는 5만원 이상 구입 고객에게 5000원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페이백 행사는 물론 진영시장은 5일장이 열리는 4일, 9일에 2만원 이상 물품 구매 시 경품 응모권을 증정한다. 시청 직원도 대대적인 전통시장 추석맞이 장보기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시는 전통시장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일시적으로 주변도로 일부구간 주차가 가능하도록 해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를 지원한다.

아울러, 공동구매, 배송, 판매로 대형유통업체에 밀리지 않는 가격 경쟁력이 있는 김해시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는 지역 소상공인을 위해 농수축산 2000품목, 공산품 8000품목에 대해 ‘빅 세일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소상공인의 판로 개척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비대면 온라인 판매(라이브커머스, TV홈쇼핑)를 실시하며 △씨랩의 치킨쿡 숯불구이 △맛난당의 양념쭈꾸미 △인제떡방앗간의 송편 △에센티아팩토리의 커피원두 △고운동커피의 드립커피 △마곱간의 한우곱창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한다.

이 밖에 공공배달앱 ‘먹깨비’에서는 행사 기간 주문 완료자 중 매일 100명을 추첨해 1인당 김해공공배달앱상품권 5천원을 지급하며, ‘먹깨비’에서만 사용 가능한 ‘김해공공배달앱상품권’을 1일 오전 9시 10% 할인율로 추가 발행한다.

시 관계자는 "온·오프라인 다양한 채널을 통해 동행세일 행사를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며 "김해시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 등이 활력을 되찾는 계기가 될 수 있게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김해시 동정] ‘대한민국 동행세일’ 기간 소비촉진행사 마련

▲2022년 김해시 보육교직원 한마음 문화 축제 단체 촬영 모습. 사진=김해시.

■ 김해시 보육교직원 한마음 문화 축제

김해시는 지난 29일 롯데시네마 김해아웃렛점에서 보육교직원 간 교류를 돕고 사기진작을 위해 ‘2022 김해시 보육교직원 한마음 문화 축제’를 개최했다.

30일 시에 의하면 이번 행사는 코로나19의 장기화 속에서도 아이들을 사랑으로 보살피는 보육 교직원의 노고를 위로하고, 보육교직원들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기 위한 축제로써 시에 등록된 보육교직원 약900명이 참석했다.

홍태용 시장은 격려사에서 "모두가 힘든 상황에서도 보육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노력해주신 분들게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며 "우리 아이들과 보육교직원 여러분의 꿈! 그 꿈이 이루어지는 따뜻한 행복도시 김해를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 ‘내덕지구 도시침수 예방사업’ 내달 착공

김해시는 내덕동 장유자동차학원 일원 상습침수 해소를 위해 다음 달 ‘내덕지구 도시침수 예방사업’에 착공한다고 30일 밝혔다.

내덕동 장유자동차학원 앞 국도58선 일원은 매년 집중호우 때마다 차량 통제, 가옥 침수 등이 발생해 대책 수립이 시급했던 지역이다.

총사업비 381억원(국비 267억원, 지방비 114억원)을 투입해 빗물펌프장(1분당 900㎥ 처리), 유수지(1만4100㎥), 우수관로(2.1㎞)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2019년 9월 하수도중점관리지역 지정 후 실시설계와 재원 협의를 거쳐 9월 착공, 2025년 3월 사업이 정상적으로 마무리되면 내덕지구 일원(1.8㎢, 2,665세대)의 상습 침수가 완벽히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민선8기 홍태용 시장의 시정 철학에 맞춰 시민들이 안전한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작년 6월 대동안막지구 도시침수예방사업 준공 이후 현재까지 단 한 건의 침수피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2023년 8월 준공 예정인 안동지구 도시침수예방사업도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semin382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