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NH농협금융지주.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은행권에 K-뉴딜(한국판 뉴딜) 붐이 불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대대적으로 K-뉴딜을 발표한 후 금융권 참여를 독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새해 초부터 혁신금융 의지를 보이며 K-뉴딜 활성화 지원에 나서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은행들의 K-뉴딜 참여가 두드러진다. 앞서 새해를 맞이한 지난달에는 정치권 인사들과 주요 금융지주 회장 등을 만나 K-뉴딜 참여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
금융권은 지난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지주 등 5대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약 70조원 규모의 K-뉴딜 금융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뉴딜투자 가이드라인이 마련된 후 올해부터 본격적인 K-뉴딜 관련 대출과 투자가 시작되고 있다. 주로 뉴딜 관련 산업과 뉴딜 관련 기업에 금융지원을 하고, 뉴딜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내용이 골자다.
먼저 K-뉴딜을 주도하는 국책은행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앞서 KDB산업은행은 지난달 초 향후 5년간 총 25조원 규모의 직접 투·융자와 간접대출을 실행한다는 내용의 ‘대한민국 대전환 뉴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특히 뉴딜 분야 영위기업과 뉴딜사업 참여 기업 등 뉴딜 산업 생태계 전반에 투입하는 뉴딜 특별자금은 약 20조원 규모로, 산은이 자체 추진하는 단일상품 중에서는 최대 규모다. 산은은 올해는 뉴딜 프로그램에 총 4조5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은은 현재 정책형 뉴딜펀드 조성을 위해 운용사를 선정하고 있다. 2월 말까지는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30조원, 이후 5년간 2030년까지 50조원 등 총 80조원을 투입하겠다는 10년간의 계획을 마련했다.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 세부 분야를 7가지로 나눠 계획에 맞게 지원한다. 수은은 올해는 K-뉴딜 글로벌화 성과 창출을 주요 목표로 삼고 총 5조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IBK기업은행 또한 지난달 혁신기업 발굴, 육성을 위한 ‘IBK 뉴딜펀드’를 조성하고, 매년 2000억원씩 5년간 총 1조원을 출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2022년까지 총 1조5000억원을 공급해 혁신기업 육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시중은행도 그룹 차원에서 K-뉴딜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 마련에 여념이 없다.
대표적으로 신한금융그룹은 ‘신한 네오 프로젝트(N.E.O Project)’란 이름의 자체 뉴딜 정책을 추진 중인데, 지난해 중소기업 대상 대출을 공급 목표인 15조4000억원보다 더 많은 23조5000억원 규모로 공급했다. 혁신·뉴딜 투자도 1조원 넘게 이뤄졌다. 올해도 신한금융은 뉴딜 정책에 속도를 낼 계획인 가운데, 정책형 뉴딜펀드 운용사 참여, 민간 뉴딜펀드 조성 등도 주도하겠다는 포부다. 당장 올해 1분기 중 신한자산운용이 4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이밖에 우리금융그룹 등 주요 금융그룹사들도 정책형 뉴딜펀드 참여, 민간펀드 조성 등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K-뉴딜 지원을 위해 기관들과도 손을 잡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은 지난 23일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와 K-뉴딜 글로벌화 지원을 위해 협약을 맺었다. 한국 기업의 수출을 지원하는 내용이 골자로, K-뉴딜과 연관된 그린에너지·그린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분야 등 수출을 촉진하는 산업은 씨티은행이 우대조건으로 대출을 공급한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9일 기술보증기금과 K-뉴딜 지원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K-뉴딜 관련 기업 지원에 KB금융그룹이 함께 나선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K-뉴딜은 기존에 은행권에서 관심이 있던 그린, 디지털 등 분야와 혁신금융 강화 움지임과 맞물려 있다"며 "정부 기조와 사회적인 분위기에 따라 은행권 참여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