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려 8년간 점입가경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밀양 송전탑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까.
한전과 밀양시는 지난 5일 ‘밀양 송전탑 갈등해소 특별지원협의회’를 발족, 주민갈등해소를 위한 현안문제는 물론 한전이 제시한 특별지원안 세부사항에 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앞서 밀양 갈등해소를 위한 5개면 주민대표위원회와 한전은 밀양시, 산업부, 지역국회의원실이 참여하는 특별지원협의회 구성을 위한 준비회의를 5차례에 걸쳐 개최한 바 있다.
특별지원협의회는 국민대 목진휴 교수를 위원장으로 밀양시가 추천한 주민대표 10명, 한전 5명, 밀양시 2명, 지역국회의원실 1명, 산업통상자원부 1명 총 20명으로 구성됐다.
특별지원협의회 발족과 함께 밀양시와 한전을 공동간사로 밀양시 추천 주민대표 2명, 한전 2명, 밀양시 2명, 지역국회의원실 1명, 산업부 1명 총 8명의 실무위원회도 구성됐다.
특별지원협의회 20명 가운데 반대 측 주민대표가 빠져있다는 점이 안타까웠던 목진휴 위원장은 “반대측 주민이 특별지원협의회에 참여할 의사를 표명하면 참여방법에 대해 협의하겠다는 것이 특별지원협의회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이들의 참여를 강력히 요청키도 했다.
이와 관련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이계삼 사무국장은 “애당초 보상을 바라지 않았기에 특별지원협의회에 참여할 의사는 전혀 없다”며 “특별지원협의회에 속한 주민대표 10명도 경과지에서 멀리 떨어져 거주하는 주민들이라 대표성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특별지원협의회의 활동에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밀양시는 지난 14일 시청 대강당에서 6급 이상 공무원 130여 명을 대상으로 765kV 송전선로 사업 직원보수교육을 실시했다.
주민들과 빈번히 접촉하는 6급 이상 공무원들이 765kV 송전선로 사업에 관한 지식이 있어야 갈등해결이 용이할 것이란 판단아래 실시된 이날 교육에서 밀양시 조영진 경제투자과장은 765kV 송전선로 사업을, 한전 최규택 부장은 지중화와 우회송전 불가에 관해 설명했다.
교육에 참가한 130여 명의 공무원들로 구성된 ‘갈등 해결을 위한 출장반’은 지난 19일부터 부북 상동 산외 단장 총 4개 면 27개 마을에 투입돼 반대 주민 설득에 나서고 있다.
밀양시 관계자는 “주민들에게 지중화와 우회송전이 불가능하다는 정부의 입장을 전달하고 송전탑 건설이 전력난 해소를 위한 국책사업이기에 대승적 차원에서 받아들여 줄 것을 부탁하고 있다”며 “출장반의 활동은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반대대책위는 지난 15일 “밀양시의 이 같은 행태는 극심한 갈등을 더욱 부추기고 반대 주민들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이라며 “밀양시장은 주민들을 더욱 고립시키고 행정력 낭비에 극심한 지역갈등을 초래하는 공무원 동원 홍보교육계획을 철회하라”고 반발했다.
특히 밀양시 조영진 경제투자과장이 모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반대대책위가 주민과 한전의 접촉을 차단해 주민들이 한전의 보상계획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는 취지로 말한 것과 관련 조 과장을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검찰에 고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전선로 건설사업 승인 이후 거듭된 공사 중단부터 시작된 갈등이 국회의 ‘송전탑 건설’ 용인까지 온 상태에서 밀양시도 시큰둥한 밀양 주민들과 스킨십 강화에 나섰다.
당장 공사를 시작해도 문제될 게 없는 한전은 밀양 송전탑 갈등해소 특별지원협의회의와 갈등 해결을 위한 출장반의 활동으로 심화된 갈등이 수그러지길 원하고 있다.
반대 주민들의 닫힌 마음의 문이 열릴 시기가 언제가 될지는 더 지켜봐야 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