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5대 은행 가계대출 2.4조 또 늘었다…은행 금리 상승 잇따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29 10:37

신한은행, 내달 1일부터 주담·신용대 일부 0.05%p 상향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가계대출 억제 겹쳐



당국, 스트레스 DSR 도입 예상

ooeoe.jpg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4조8018억원이다. 9월 말(682조3294억원)보다 2조4723억원 또 늘어났다.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50년만기 대출상품을 막고 특례보금자리론을 축소하고도 여전히 5대은행의 가계대출이 2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이에 은행들이 속속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4조8018억원이다. 9월 말(682조3294억원)보다 2조4723억원 또 늘어났다. 월 증가폭으로는 지난 2021년 10월(3조4380억원)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수치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2조2504억원(517조8588억원→520조1093억원) 불었고, 지난달 1조762억원 줄었던 신용대출도 이달 5307억원 늘었다. 월말까지 큰 이변이 없다면 5대은행의 신용대출까지 2021년 11월(3059억원) 이후 1년 11개월 만에 반등할 전망이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사리 진정되지 않자 시장금리가 급등하는 시기에 시중은행들이 추가로 금리를 올리는 이례적 현상도 이어지고 있다.

신한은행은 내달 1일부터 가계대출 일부상품의 금리를 소폭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주담대 중 신규코픽스·신잔액코픽스(6개월 주기) 기준 변동금리의 가산금리가 0.05%포인트p 오르고,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 중 지표 금리가 1년물 이하인 상품의 가산금리도 0.05%p 상향된다.

이에 앞서 이미 KB국민은행은 지난 11일부터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금리를 최대 0.3%p 올렸고, 우리은행도 13일부터 같은 상품군의 금리를 최대 0.3%p 상향했다. NH농협은행은 17일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를 최대 0.3%p 축소하며 사실상 대출금리를 인상했다.

개별은행의 잇따른 인위적 금리인상으로 인해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 인상폭은 지표금리인 은행채나 코픽스 상승 폭을 웃돌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7일 기준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4.360∼6.760% 수준으로, 약 한 달 전인 지난달 22일(연 3.900∼6.490%)과 비교해 하단이 0.460%p 뛰면서 4%대로 올라섰다. 이 오름폭은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의 주요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0.268%p·4.471→4.739%)보다 0.192%p나 높다.

가뜩이나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최근 미국과 한국 긴축 장기화 전망과 은행채 발행 물량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빠르게 오르고 있는데, 가계대출 억제 방안의 하나로 가산금리까지 조절되면서 상승 속도가 빨라진 셈이다.

가계대출 수요 축소와 대출건전성 확보를 위해 은행권뿐 아니라 금융당국도 ‘스트레스 금리 적용 DSR’ 연내 도입 등의 대책을 추진 중이다. 지난 25일 열린 금융감독원과 10개 은행 자금 담당 부행장 간 ‘은행자금 운용·조달 현황 점검 회의’에서 당국 관계자는 "스트레스 DSR 도입을 준비 중으로, 은행별로 사전에 관련 내규와 전산 시스템 등을 갖춰달라"고 주문했다.

DSR은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DSR 산정 과정에서 향후 금리 인상 위험 등을 반영해 실제 대출금리에 일정 수준의 가산금리까지 더한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 대출 한도는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금융권에서는 가계대출이 이대로 계속 급증세를 보일 경우, 결국 전세자금대출 등 현대 DSR 산정 대상에서 빠진 ‘적용 예외’ 대출들이 추가로 DSR 적용을 받게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3일 국정 감사에서 가계대출 규제 방향과 관련해 "현재 DSR 규제에 해당하는 차주의 비중이 작다"며 "당국과 단기적으로 DSR 규제의 루프홀(빠져나갈 구멍)이 많지 않도록, DSR 규제 해당 가구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해 어느 정도 증가를 막는지 보고 그다음 거시정책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pear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