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불안한 경기'…한은, 기준금리 6연속 동결 결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19 10:06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기준금리가 6연속 동결됐다.

한국은행은 19일 서울 중구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3.5%로 유지했다.

지난 2·4·5·7·8월에 이어 6연속 동결 결정이다.

한은 금통위는 국내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대외 불확실성이 커져 금리를 묶어두고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먼저 최근 소비 위축 등으로 그동안 한은이 전망해 온 ‘상저하고’ 경기 회복 여부가 불투명하다. 한은은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이 1.4%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잠재성장률인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 경제가 더딘 속도로 회복하면서 한국 경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중국의 올해 예상 경제성장률을 5%로 0.2%포인트(p) 내려 잡았다.

기준금리를 높이면 가계부채 이자 부담도 커진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79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한 달 새 4조9000억원 늘어나며 증가 폭은 전월(+6조9000억원) 대비 줄었지만 잔액은 사상 최대 규모다.

최근 국내 물가도 한은 전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소비자물가는 8월 3.4%, 9월 3.7%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한은이 이미 예견했던 3% 중반 수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근원 소비자물가는 3개월째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정책금리(기준금리) 인상 압박도 다소 줄었다는 분석이다. 미국 장기 채권 금리가 너무 많이 뛰었고 근원 소비자물가(에너지·식품 제외) 상승률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충돌 여파 등으로 경기 불안을 고려해 미 연준이 추가 인상에 나서지 않으면 한미간 금리 격차는 현 수준인 2.0%p로 유지된다.

여기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따른 유가 변화도 변수다.

단 아직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이 긴축 기조를 이어갈 경우 금리 차 부담이 커지는 데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 한은이 금리 대응책을 꺼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