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빅데이터 플랫폼’ 개통…맞춤형 행정서비스 실현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서울 서초구는 부서 구분 없이 행정 데이터를 활용하고, 다양한 행정 정보를 시각화해 구민에게 보기 쉽게 제공하는 ‘서초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구의 부서별로 산재한 공공데이터 11개 카테고리, 480여종을 통합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민의 알권리를 충족하는 외부용, 직원이 과학적이고 신속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내부용 시스템으로 구성됐다.
내부용은 각종 행정 데이터 수집·연계로 다양한 분석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구민 불편을 신속히 해결하고 의사 결정에도 활용하는 등 맞춤형 행정서비스가 가능하게 했다. 업무 처리 시간도 줄여 행정효율성도 높인다.
서비스 항목은 보유데이터, 데이터관리, 데이터분석, 서초형 분석모델, 현황분석사례, 통계주제도 총 6가지다. 또 인구분포, 재난안전, 보건 등 25개 소주제로 데이터를 분석해 정책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정차 폐쇄회로(CC)TV 입지 선정 시에 기존 CCTV 설치 위치, 그간 접수된 주정차 단속요청 민원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CCTV의 최적 입지 예측이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불법주정차 방지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수기 방식으로 관리하던 침수현황·수방 자원 데이터를 지도에 시각화해 침수 예방 대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
외부용은 실시간 재난안전정보, 도로교통정보, 인구·복지·경제 현황 등 구정 데이터를 시각화했다. 웹 브라우저에 주소(bigdata.seocho.go.kr)를 입력하거나 구 홈페이지 상단 빅데이터 플랫폼 메뉴를 선택하면 볼 수 있다. 재간,교통,대기 등 실시간 도시 현황과 분야별 지표(인구·복지·교육 등 10개 분야의 시각화 정보), 지도로 보는 서초(비상 소화장치·대피시설·체육시설 등 각종 시설물 위치정보), 데이터 활용, 서초통계연보 등이다.
전성수 서구청장은 "도시 문제와 구민 불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생활 전반에 스마트 기술과 과학행정을 도입해 구민들이 쾌적한 환경 속에서 안전한 일상을 누리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전성수 서초구청장 |
이 플랫폼은 구의 부서별로 산재한 공공데이터 11개 카테고리, 480여종을 통합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민의 알권리를 충족하는 외부용, 직원이 과학적이고 신속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내부용 시스템으로 구성됐다.
내부용은 각종 행정 데이터 수집·연계로 다양한 분석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구민 불편을 신속히 해결하고 의사 결정에도 활용하는 등 맞춤형 행정서비스가 가능하게 했다. 업무 처리 시간도 줄여 행정효율성도 높인다.
서비스 항목은 보유데이터, 데이터관리, 데이터분석, 서초형 분석모델, 현황분석사례, 통계주제도 총 6가지다. 또 인구분포, 재난안전, 보건 등 25개 소주제로 데이터를 분석해 정책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정차 폐쇄회로(CC)TV 입지 선정 시에 기존 CCTV 설치 위치, 그간 접수된 주정차 단속요청 민원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CCTV의 최적 입지 예측이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불법주정차 방지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수기 방식으로 관리하던 침수현황·수방 자원 데이터를 지도에 시각화해 침수 예방 대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
외부용은 실시간 재난안전정보, 도로교통정보, 인구·복지·경제 현황 등 구정 데이터를 시각화했다. 웹 브라우저에 주소(bigdata.seocho.go.kr)를 입력하거나 구 홈페이지 상단 빅데이터 플랫폼 메뉴를 선택하면 볼 수 있다. 재간,교통,대기 등 실시간 도시 현황과 분야별 지표(인구·복지·교육 등 10개 분야의 시각화 정보), 지도로 보는 서초(비상 소화장치·대피시설·체육시설 등 각종 시설물 위치정보), 데이터 활용, 서초통계연보 등이다.
전성수 서구청장은 "도시 문제와 구민 불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생활 전반에 스마트 기술과 과학행정을 도입해 구민들이 쾌적한 환경 속에서 안전한 일상을 누리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