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전용면적 59㎡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2010년 이후 역대 2번째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는 해당 면적 아파트 1순위 청약 현황. 리얼투데이 |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올해 전용면적 59㎡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2010년 이후 역대 2번째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청약접수일 기준으로 전국에서 지난 2010년부터 2023년(1월~8월 18일)까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청약을 받은 전용면적 59㎡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특별공급 제외, 일반공급 기준)을 조사한 결과 2023년 전용면적 59㎡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3.64대 1(일반공급 5797가구·1순위 청약자 7만9045명)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동일면적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14.63대 1·일반공급 1만5237가구·1순위 청약자 22만2903명)에 이어 2010년 이후 역대 2번째로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1인 가구 및 2·3인 가구 증가로 수요는 많지만, 공급은 줄어든 점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2·3인 거주인수는 607만5045명으로 전체 거주인수의 절반 격인 49.5%에 이른다. 이는 2019년(48%), 2020년(48.56%), 2021년(49.09%)에 이어 연속 오름세를 보인 수치다.
반면 전용면적 59㎡ 아파트의 공급물량은 지난 2015년 5만2855가구(일반공급 기준)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점차 물량이 줄어들고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20년에는 3만6048가구를 기록했지만 이후 △2021년 2만7347가구 △2022년 1만5237가구로 줄었다. 올해(1월~8월 18일 기준)는 전년 대비 38.04% 감소한 5797가구에 그친다.
수요와 공급 불균형에 이어 분양가격까지 치솟으면서 진입장벽 역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2023년 7월 기준 전용면적 60㎡이하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격은 1651만6500원으로 전년 동월(1362만9000원) 대비 21.18% 상승했다. 이는 전용면적 60㎡초과~85㎡이하 아파트의 분양가격(1606만4400원) 보다도 높다.
여기에 남은 하반기 신규 분양 예정 물량까지 더한다면 전용면적 59㎡ 아파트는 희소성에 기인해 올해 1순위 청약 경쟁률 역시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전용면적 59㎡ 아파트는 분양가, 취득세, 재산세 등 자금 부담이 비교적 덜하다. 하지만 현재 가격 상승 추세로 지금이 아니면 내 집 마련과 투자의 기회도 더욱 좁혀지는 만큼 전용면적 59㎡가 있는 현재 분양 중인 단지이거나 해당면적이 구성돼 있는 신규 분양 단지를 선점하는 것이 내 집 마련과 투자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zoo10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