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초 이후 부동산 시장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서울에 이어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가 ‘상승 국면’으로 전환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 |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올해 초 이후 부동산 시장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서울에 이어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가 ‘상승 국면’으로 전환했다. 하강 국면을 이어가던 전세 소비심리지수도 1년여 만에 보합 국면으로 올라섰다.
16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7.0으로 전월보다 2.9포인트(p) 상승했다. 전국 기준 지수가 상승 국면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4월(116.0)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이 지수는 부동산 중개업소와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소비자의 행태변화 및 인지수준을 0~200의 숫자로 수치화 한 것으로 지수가 100을 넘으면 가격 상승이나 거래 증가 응답이 많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강(0~94), 보합(95~114), 상승(115~200) 등 3개 국면으로 구분한다.
전월 115.8이었던 수도권은 121.0으로, 119.9였던 서울은 123.7로 개선됐다. 경기는 114.9에서 121.0으로 보합 국면에서 상승 국면으로 전환했고, 인천(109.0→113.6)은 아직 보합 국면이지만 지수가 상승했다.
전국에서 수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127.2를 기록한 세종이었다. 전월 126.6에서 0.6p 올랐다. 강원(115.4→123.2), 대전(114.5→118.7), 울산(117.4→117.7)도 상승 국면이었다.
반면 대구(109.5→105.5), 광주(110.8→109.9), 충북(120.8→114.2), 충남(112.9→112.0), 전북(115.7→112.5), 경북(116.3→109.4), 경남(114.0→112.5)은 6월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전국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달 95.4로 전월보다 3.0p 오르며 7개월째 상승세다.
전세 소비심리지수는 지난해 6월(98.2) 이후 1년 1개월 만에 하강 국면에서 보합 국면으로 전환했다.
주택과 토지를 합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7월 104.5로 전월대비 2.9p 상승했다.
매매와 전세를 더한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6.2로 전월(103.2) 대비 3.0p 상승해 지난 3월 하강국면에서 보합국면으로 전환한 뒤 다섯 달째 국면을 유지하고 있다. zoo10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