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아름

beauty@ekn.kr

김아름기자 기사모음




무협 "韓, '수소 저장·운송' 세계 특허출원 비중 5% 그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5 12:33
수소

▲수소 저장/운송 분야 특허출원 점유율 및 RTA 비교 자료제공= 한국무역협회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분야 세계 특허 출원 비중은 2011∼2020년 5% 수준으로,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국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세계 수소 저장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우리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수소 저장·운송 산업 육성 현황과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수소는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저장·운송을 위해 압축 또는 변환 과정이 필수적이며, 주요국들은 장거리 수소 운송 체제 구축을 위해 수소를 액체 또는 액상 전환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자국의 우수한 기술력을 활용해 국가 간 연계를 추구하며 국제 협력을 통한 역내외 파이프라인 구축과 수소의 운송 범위를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은 자국 수소 수요 충당을 위한 저장·운송 시스템을 마련하고자 관련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

일본 역시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수소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장거리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 고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호주도 수소 수출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수출 연계 저장·운송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확충에 주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는 고압 기체 저장·운송 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도달했으나, 수소 국제 운송에 필수적인 액화·액상 기술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지난 10년간(2011-2020)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분야 세계 특허 출원 비중은 전체의 5%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EU(33%), 미국(23%), 일본(22%)과 비교해 격차가 크다.

이에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수소 산업 투자가 수소의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기술 투자에 치우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며, 수소의 저장·운송 산업 발전을 위해 △수소 R&D 사업 특례 기준 제정을 통한 연구 개발 비용 지원 확대 △해외 수소 공급망 지원 체계 고도화 △튜브 트레일러 용적 및 압력 기준 완화 △연구 개발 시설에 대한 수소법 상 각종 허가 및 검사 규제 면제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임지훈 무협 수석연구원은 "수소 경제의 특성상, 사업성과를 즉각적으로 내기 어렵고 투자가 이윤 회수로 직결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요구된다"면서 "향후 도래할 국제 수소 유통 경제에 대비하기 위한 국내 기술 자립과 이를 위한 산업 육성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