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남 전 에너지기술연구원장이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14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7월 월례 조찬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전지성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우리나라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량을 지금보다 2배 정도 늘려야 하지만 주민수용성을 고려하면 비현실적인 만큼 신(新)에너지 기술 개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종남 전 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 주최로 14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7월 월례 조찬포럼에 참석,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김 전 원장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탄소 발전을 늘려야 한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도 "그런데 정부가 원자력 발전 비중을 지금과 같은 30%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이 목표를 이루려면 신규 원전을 5기 건설하고 18기의 수명연장을 진행해야 하는데 부지나 송전탑,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 문제 등 불확실성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 전 원장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 비중 30% 유지 시 원자력 발전량은 2022년 전체 발전량 594테라와트시(TWh)중 176TWh에서 2050년 전체 발전량 전망치인 1209TWh 중 363TWh로 두배가 되어야 한다.
김 전 원장은 "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상황을 대비해 태양광과 풍력, 수소경제, 탄소포집 및 저장(CCUS) 등 기술개발에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며 "탄소중립은 무탄소 전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효율 향상, 산업의 저탄소화, 탄소저감건물 등 고효율 저탄소사회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원장은 "화석연료 발전 업계는 암모니아, 수소 혼소 상용화, 철강업계는 수소환원제철, 수송 업계와 건축 업계는 는 연료와 자재의 탈탄소화 등 기술개발이 필수"라며 "모든 산업분야와 가정, 상업, 공공 건물 분야에서는 효율향상과 자원순환 등 에너지 수요 저감이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중립의 효과는 92.8%에 달하는 에너지 수입을 20%로 줄이는 에너지안보 효과와 함께 2000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수지 개선, 지역균형 발전 효과 등 경제성장과 기회의 시대로 가는 열쇠"라며 "그 길은 결국 기술개발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원장은 한국의 태양광과 풍력 시장 잠재량이 여전히 높지만 간헐성을 극복할 차세대 전력망 구축과 요금 현실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은 중국에 가격경쟁력으로 이길 수 없는 만큼 ‘고효율 텐덤 태양전지’ 같은 기술혁신을 이뤄야 하며, 보급 차원에서는 지역소멸 방지와 균형발전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여전히 우리나라의 가정용·산업용 전기요금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데다 전력망이 재생에너지의 비중 확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계통의 유연성을 강화하고 실시간 요금제 도입과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전력수요 예측, 대규모 전력저장장치(ESS)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