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수소·LNG로 전기 공급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3 14:51

정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내 3GW LNG 발전소 건설 검토…수소혼소도 추진
2036년까지 장거리 송전선로 건설 완공…수도권 선로보강 경로 변경해 용인에 공급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대책 회의 주재하는 이창양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정부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에 전기를 공급할 설비용량 3기가와트(GW)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신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LNG 발전소는 추후 LNG와 수소를 섞어 쓰는 수소 혼소 발전소로 전환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가 오는 2042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로 구축할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에 수소로 만든 ‘청정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13일 정부와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일 이창양 장관 주재로 연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경제신문 온라인 7월 11일, 지면 7월 12일자 1면 보도 ‘[단독]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전력공급, 한전이 맡는다"’ 기사 참조]

정부와 반도체 업계에선 기업의 투자가 마무리되는 2050년에는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에 약 10G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수도권 전체 전력 수요의 4분의 1에 해당할 정도로 막대한 규모다.

클러스터 유치 기업들은 투자 단계별로 필요한 전력을 적기에 공급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당장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우선 0.4GW의 전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먼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발전 효율을 고려해 용인에 LNG 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또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서 수도권 선로 보강 경로를 용인을 거치는 방법으로 일부 변경하고, 기존 계획 대비 용량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6.5GW의 전력을 추가로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에 공급할 계획이다.

서해안 송전선로를 건설해 호남 등의 태양광 발전을 끌어오고, 2032∼2033년께 완공 예정인 신한울 3·4호기의 전력도 용인 클러스터에 공급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2036년까지는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에 전기를 공급할 장거리 송전선로 체계를 갖추는 것을 잠정적인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