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준경 와이랩 대표이사가 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회사의 비전과 향후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성우창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웹툰 제작사 와이랩이 3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실시했다.
지난 2010년 설립된 와이랩은 웹툰 제작사이면서 자체 저작권을 보유한 지적재산권(IP) 홀더다. 드라마, 영화 등 영상 제작까지 자체적인 사업영역을 확장하면서 IP 개발부터 활용까지 가능하다.
와이랩은 에이전시 형태인 대부분의 웹툰 제작사와 달리 웹툰 제작 밸류체인을 수직적으로 통합했다. 웹툰 작가 또는 전문인력의 교육부터, 스토리 제작, 아트 제작 및 해외진출을 위한 현지화까지 웹툰 제작의 각 요소를 내재화했다. 그리고 제작한 웹툰 IP의 활용 및 스토리텔링의 연계를 위해 드라마 등의 영상 제작과 MD, 음원 등 기타 OSMU(원 소스 멀티 유즈) 영역까지 자체적인 사업영역을 수평적으로 확장했다.
그 결과, 작년 기준 50개의 IP를 보유하고 있고, 최근 2년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 135.5%를 기록했다. 2022년에 웹툰 제작의 수직적 통합 영역에서 약 150억원, 드라마 제작 등의 수평적 확장 영역에서 약 150억원의 매출액을 실현하는 등 사업모델 매출액 구성의 유효성과 시장성을 입증했다. 또한 네이버웹툰, CJ ENM 등 글로벌 컨텐츠 기업들을 지분 투자 유치를 통해 전략적 협업 파트너로 확보했다.
와이랩 IP의 가장 큰 특징은 세계관이다. 지난 2016년 국내 최초 웹툰 세계관인 슈퍼히어로물 장르의 ‘슈퍼스트링’을 공표했고, 2018년에는 학원청춘물 장르의 ‘블루스트링’, 2021년에는 로맨스물 장르의 ‘레드스트링’을 발표했다. 세계관은 다수의 IP가 시대 및 공간적 배경을 공유하면서 캐릭터들이 연계되어 하나의 큰 서사를 구성한다.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성공적인 작품 레퍼런스도 풍부하다. △슈퍼스트링의 ‘정글쥬스’, ‘부활남’, ‘테러맨’, 크로스오버 작품인 ‘테러대부활’ △블루스트링의 ‘참교육’, ‘스터디그룹’, ‘한림체육관’ △레드스트링의 ‘헤어지면 죽음’, ‘성경의 역사’ 등은 국내외 웹툰 플랫폼에서 상위 순위에 들었던 작품이다. 세계관 외에도 ‘펍지(PUBG) 유니버스’와 연계한 ‘100’, ‘침묵의 밤’, ‘리트리츠’와 엘리모나 레이블을 통해 노블코믹스 ‘나 혼자 네크로맨서’, 일상 개그 장르의 ‘무직백수 계백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팬덤이 형성된 세계관은 신작을 출시했을 때 기존 팬덤의 인기를 흡수할 수 있고, 연계된 서사를 통해 완결된 작품이 재조명 받을 수 있다. 와이랩은 각기 다른 장르의 팬덤을 타깃한 세 개의 세계관을 보유하고 있어 새로운 작품을 낼 때마다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 와이랩은 세계관 IP를 활용한 영상과 웹툰 제작을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와이랩은 세계관 내 작품 수 확대를 위해 스토리 작가를 연내 12명을 신규 채용하고, 웹툰 및 영상 제작 수를 확대할 방침이다. 더불어 오는 2025년까지 3년간 54개의 웹툰 신작을 발표할 예정이다. 와이랩은 현재 자사 웹툰 IP를 기반으로 14개의 영상화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스터디그룹’, ‘참교육’, ‘선의의경쟁’이 드라마로 자체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다.
타깃 독자층을 확대하는 전략도 계획하고 있다. 새로운 독자층을 공략하는 신규 세계관을 최근 공개했으며, 기존의 웹툰이 영상화되는 형식에서 벗어나 웹툰과 영상 포맷으로 동시에 스토리를 전개하는 새로운 미디어 전략도 기획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최대 만화 시장인 일본 진출을 위해 작년 현지 제작 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심준경 대표이사는 "와이랩은 웹툰 제작의 수직적 통합과 영상 제작 등으로의 수평적 확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며 구축한 국내 유일 웹툰 제작사"라며, "상장 이후, 공개기업으로서 투명한 경영을 하며, 콘텐츠 제작사를 넘어서 IP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와이랩 총 공모주식수는 300만주다. 공모 희망 밴드가는 7000~8000원으로 공모 후 예상 시가총액은 약 1108~1267억 원이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오는 4일까지, 일반투자자 대상 청약은 10~11일 진행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아직 순이익 적자 기억임에도 불구하고 공모가가 고평가된 것 같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심 대표는 "DNC 미디어 등 유사업체를 비교대상으로 놓고 주가수익률(PER) 30배를 적용해 산출했다"며 "웹툰 시장, 사업모델이 가지고 있는 성장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고, 하반기 흥행이 이어진다면 이익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