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전 직원들이 직장인 커뮤니티에 올린 게시물 갈무리. |
특히 한전 직원들은 불만의 화살을 민간·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에 돌리는 모양새다.
직장인 커뮤니티에는 지난 16일 공공기관 경영평가 발표 직후 이직을 고려하겠다는 한전 직원들의 게시물들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정치권이 가격결정권, 정책방향 설정을 함에도 직원들의 태만으로 지금의 상황이 된 것처럼 보여지는 상황에 대한 억울함도 함께 내비쳤다.
19일에는 전국전력노동조합에서 경영평가를 폐지하라는 성명서까지 나왔다. 성명서는 정부에 대한 불만과 함께 한전의 경영 악화가 민간 가스발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에 과도하게 정산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에 공공·민간 간 갈등의 불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조합은 "전기요금이 정치요금으로 변질된 상황에서도 초유의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강도 높은 전방위 자구노력을 추진해왔지만 결과는 최악의 경영평가 성적표"라며 "공공기관 경영평가가 공공성을 내팽개치고 공적 역할을 무시한 채 이윤을 최고의 가치로 평가한 결과다. 정부의 서민경제와 물가안정 논리에서 전기를 원가 이하로 파는 한 절대로 수익창출이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한 한전 직원은 "성과급을 못 받은 게 문제가 아니다. 사실상 정부가 시키는 대로 하는, 가격도 직접 정하는 게 아닌 상황에서 경영성과와 적자, 흑자는 사실상 의미가 없다"며 "성과급도 상여금 성격에 가깝다. 안 받아도 그만이다. 그런데 정책 실패에 따른 책임을 조직과 직원들에게 떠넘기는 상황에 화가 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 |
![]() |
전력노동조합과 한전 직원들 사이에선 민간발전사에 대한 불만도 터져나오고 있다.
이들은 "발전공기업들은 정산조정계수 등으로 수익을 낮추고 있지만 대기업 계열의 민간발전사,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은 막대한 수익을 내고 있다"며 "한전의 적자만큼 이들의 이익이 늘어난 것이다. 우회적인 민영화"라고 지적했다.
한전 관계자는 "노조와 직원들이 여러 창구를 통해 의견을 표시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상황"이라면서도 "직원들의 불만을 알고 있지만 당장은 고강도 자구 노력을 계속 이어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답답함을 표했다.
민간 발전업계에선 ‘배부른 투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전 직원들의 불만에 다른 기업 재직자들은 "공기업이나 공무원 조직은 정치인들의 의사결정이나 국민여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또 독점 공기업이기 때문에 사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덜한 경쟁, 고용보장, 공무원보다 높은 급여 등 여러 이익도 많았던 게 사실이다. 반면 민간은 제도 아래서 최대한의 이익을 내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해왔다. 한전은 그동안 편하지 않았냐"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