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전 본사 사옥 전경.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19일 한국전력 수장 자리가 공석 한 달째를 맞으면서 차기 사장 선임을 두고 하마평이 무성하다. 한전은 조만간 임원추천위를 통해 사장후보자 공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차기 한전 사장으로 4선(17∼20대)의 김동철 전 국회의원, 김종석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 박일준 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김준동 전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김동철 전 의원·김종석 위원장은 정치인 출신, 박일준 전 차관·우태희 부회장·김준동 전 부회장은 산업부 출신이다.
역대 한전 사장 중에는 에너지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은 산업부 차관 출신이 많다. 직전 정승일 사장 또한 산업부 차관 출신이다. 기존 조직 논리에 매몰되지 않는 외부 인사의 개혁성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와 업계 안팎에선 김동철 전 의원과 김종석 위원장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김동철 전 의원의 경우 서울대 법대·산업은행 출신으로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광주 광산갑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했다. 이후 20대 총선까지 내리 4선을 지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국민의당·바른미래당 원내대표를 역임하는 등 정책·정무 분야에서 두루 활약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치 이력의 대부분을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활동했지만,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당시 윤석열 후보의 특별고문 겸 새시대준비위원회 지역화합본부장과 선대본부 후보특별고문을 맡았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 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김종석 위원장은 20대 국회의원 출신으로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장도 역임했다.
현 정부 들어선 대통령 직속 국무조정실 산하 규제개혁위원장을 맡고 있다.
보수진영의 대표적인 금융·경제 분야 전문가이기도 하다.
차기 한전 사장이 풀어야 할 과제는 만만치 않다.
내년 총선 전까지 추가 전기요금 인상이 불투명한 가운데 지난 2021년 이후 45조원에 달하는 구조적인 재무 적자를 해결해야 한다.
여기에 정부와 정치권이 요구하는 고강도의 내부 개혁까지 완수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정치적·정무적 부담도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정부와 정치권, 업계 안팎에선 차기 한전 사장의 요건에서 ‘외부인사’와 ‘개혁성’에 방점이 찍힐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